한미, 3500억달러 투자구조 논의…통화스와프는 ‘부차적’

7 hours ago 2

경제

한미, 3500억달러 투자구조 논의…통화스와프는 ‘부차적’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한미 간 3500억 달러 규모 투자약정에서 통화스와프보다 투자구조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APEC 정상회의 기간 내에 한미 간 관세협상 타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한국은 보다 정교한 투자 조건을 설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최근 원달러 환율 약세가 관세협상 지연에서 비롯되었음을 지적하며, 관세 문제 해결 시 시장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구윤철 부총리 블룸버그TV 인터뷰
직접투자·대출·보증 구조에 따라
통화스와프 체결 안할수도 있어
APEC 정상회의 계기 타결 목표

韓 자동차 관세 25% 유지에 불만 고조
정부, 원화 24시간 거래체계 추진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인천 중구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2025 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 본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5.10.21  [이승환기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인천 중구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2025 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 본회의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5.10.21 [이승환기자]

구윤철 경제부총리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미 양국이 3500억달러 규모의 투자약정과 관련해 통화스와프보다는 투자구조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구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워싱턴의 재무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장관이 한국 외환시장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대응 방안을 내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직접투자, 대출, 보증 등으로 균형 잡힌 구조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라며 “통화스와프는 부수적인 요소일 뿐, 전체 딜 구조가 어떻게 짜이느냐에 따라 필요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통화 스와프가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일부 제한적으로만 도입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미간 관세협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다음주 경주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앞두고 막바지 조율이 이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각각의 양자회담을 갖고 향후 아시아 무역질서 재편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구 부총리는 “APEC 정상회의 기간 내 협상 타결을 목표로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한미 협상은 앞서 미일 간 5500억달러 투자 MOU 체결 이후 진행 중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프로젝트에 45일 내 자금을 배정하지 않으면 관세 인상 가능성이 명시돼 논란이 일었다. 이에 비해 한국은 투자 조건과 세부 배분 구조를 더 정교하게 설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는 25%로, 일본산 자동차의 15%보다 높아 불만이 커지고 있다. 구 장관은 “이 같은 불리한 조건을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 측에 여러 차례 전달했지만 아직 뚜렷한 반응은 없다”며 “한국 협상단이 계속해서 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30원대로 약세를 보이는 상황에 대해 구 부총리는 “시장 불안의 상당 부분은 관세협상 지연에서 비롯됐다”며 “관세 문제와 딜 구조가 정리되면 불확실성은 빠르게 해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 부총리는 또 “정부는 원화 24시간 거래 제도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며 “외환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줄여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현대차

    005380, KOSPI

    261,000 + 1.75%
  • 기아

    000270, KOSPI

    118,100 + 1.99%
  • 삼성전자

    005930, KOSPI

    98,600 + 1.13%
  • LG에너지솔루션

    373220, KOSPI

    454,500 + 4.00%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