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공단 다제약물 관리 서비스 실시
약사가 점검 후에 계약의사가 약물 재조정
국민건강보험공단은 4월부터 올바른 약물 복용을 유도하기 위한 다제약물 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고 8일 밝혔다.
장기요양시설 수급자는 재가 수급자보다 더 많은 약을 처방 받고 주의가 필요한 약물 복용 비율도 높으며, 약물 관련 부작용 등의 발생 확률도 높아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분석한 2023년 장기요양 수급자 약물 사용 실태를 보면 시설 수급자는 1일 평균 7.22개 성분(의약품수 11.47개)을 처방 받고 있어 재가 수급자의 1일 평균 5.33개 성분(의약품수 7.93개)보다 다제약물 사용현황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또 연간 28일 이상 중추신경계용 약물 복용자 비중은 시설 수급자가 76.7%로 재가 수급자 56.6%보다 20.1%포인트(p) 높다.
이에 공단은 전문가와 현장 의견을 수렴해 장기요양시설 입소자의 약물관리를 위한 서비스 모형을 마련했다.
시설에서 간호사 등이 10종 이상 약물 복용 등으로 점검이 필요한 대상자를 선정하면 공단에서 위촉한 약사가 시설을 방문해 입소자 약물을 점검한다. 필요 시 시설 계약의사가 약물을 제거하거나 변경하게 된다. 약사의 약물 점검에만 그치지 않고 의사 처방조정까지 연계되는 포괄적인 약물관리 서비스 모형이며, 특히 약물관리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약사가 시설의 종사자에게 약물보관 방법 등을 교육하는 절차도 포함돼 있다.올해 상반기에는 서울·인천·경기·강원 지역의 총 22개 시설에서 진행하고 하반기에는 참여 시설을 추가 모집한다.
장선미 가천대 약대 교수는 “시설 입소자는 신체 기능이 많이 약해져 약물의 흡수, 대사나 배설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약물 간 상호 작용에 민감하고, 약물 부작용도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어 다제약물로 인한 상호작용이나 부작용이 가장 많이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군”이라고 말했다.
박향정 공단 건강지원사업실장은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고 만성질환자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노인의 약물관리는 더 이상 미룰 수 있는 과제가 아니다”라며 “전문가, 현장, 공단 내 장기요양시설 관련부서 등과의 적극 협업을 통해 관리를 확대 및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