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강남 못 가면 어떡해"…6·27 규제 전 집 팔았다

3 weeks ago 8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지난 6월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에 입성하기 위해 10명 중 7명은 기존 집을 판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연합뉴스)

14일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서울 강남3구 부동산 매수자 10명 중 7명은 기존 부동산 처분대금으로 매수 자금을 마련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명 ‘상급지 갈아타기’를 위해 기존 집을 내다 판 것이다.

6월 강남3구에는 1770건의 자금조달계획서가 제출됐는데 이중 기존 부동산 처분대금으로 자금 출처를 제시한 건수가 1261건으로 71.2%를 기록했다. 이러한 비중은 1월 64.4%, 2월 66.4%, 3월 64.0%, 4월 55.9%, 5월 68.6%로 추세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6.27대출 규제로 상급지 갈아타기가 제한된 만큼 6월에 강남3구 주택을 매수하기 위해 기존 집을 매각하는 경향이 절정을 이뤘던 것으로 해석된다.

1~6월 누적으로 보면 강남3구 자금 조달계획서 9690건 중 6385건, 65.9%가 기존 부동산을 처분한 자금으로 강남3구 아파트 등 주택을 매입하는 데 쓰였다.

부동산 처분대금 제출 건수도 올해 1월 621건에서 6월 1261건으로 5개월 새 약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강동·마포·동작구 등 한강벨트 지역의 주택을 매입하기 위해 기존 주택을 판 비중도 6월 기준 68.4%로 집계됐다. 1월 56.9%에서 11.5%포인트 상승했다. 서울 전체 지역의 경우 이 기간 60.1%에서 65.3%로 5.2%포인트 올랐다.

차규근 의원은 “강남 집값 상승은 무주택 실수요가 아닌 자산가들끼리의 ‘물량 바꿔먹기식 갈아타기’가 만든 결과”라며 “주택담보대출 제한에 이어 ‘똘똘한 한 채’ 쏠림을 완화할 제도적 장치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