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이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지난 24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디자인어워드 2025’는 이 질문에 ‘그렇다’고 응답했다. 올해 어워드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74개국 941개 프로젝트가 참가했는데, 이들이 보여준 선의의 경쟁은 디자인이 형태가 아니라 행동의 언어로 확장되는 흐름을 보여줬다.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올해 유엔환경계획(UNEP)과 협약을 체결해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국제적 기준을 확장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팬데믹 이후 ‘회복 탄력성’과 ‘연결’이 사회적 화두로 떠올랐는데, 시상식에서 마주한 수많은 프로젝트는 디자인이 공동체를 잇는 새로운 언어가 됐음을 시사했다.
본선 진출작 10개 가운데 대상에 선정된 작업은 미국과 나이지리아의 협업 프로젝트 ‘자자 에너지 허브’였다. 나이지리아 농촌의 전력 공급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을 활용한 배터리 임대 프로젝트다.
단순히 친환경 에너지를 썼다는 이유로 상을 받은 건 아니다. 하루 만에 설치할 수 있는 평면 구조, 현지 재료를 활용한 자립형 설계, 여성들이 운영을 담당하며 경제 주체로 성장하는 구조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나머지 9개 본선 진출작은 최우수상에 선정됐다. 각기 다른 방식으로 지구가 직면한 위기와 그 해법을 다뤘다. 조류 깃털 폐기물을 섬유로 재활용한다거나 기증받은 히잡으로 극장 의자를 만드는 등 혁신적이면서도 지구 생태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아이디어가 가득했다.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올해 처음으로 라이브 심사 방식을 도입했다. 이날 오후 4시부터 현장에서 심사위원단 평가와 시민 투표가 동시에 진행돼 6시께 발표됐다.
심사위원인 안드레아 칸첼라토 이탈리아 ADI디자인뮤지엄 관장은 시상식 전 기자와 만나 “제품 완성도보다 디자인이 사회에 미치는 파급력을 더 중요하게 봤다”며 “서울디자인어워드는 도시 차원의 총체적 실험실”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올해 본선 심사위원단에는 칸첼라토 관장뿐만 아니라 세계디자인기구(WDO) 차기 회장 프라디윰나 브야스(인도), 알렉산드라 클라트 베를린 디자인위크 설립자 겸 대표(독일), 에치오 만치니 디자인 국제네트 워크 DESIS 설립자 겸 회장(이탈리아) 등 세계 디자인계를 주름잡는 인물이 총출동했다. 이들은 “디자인이 예쁜 제품을 겨루는 협의에 머물러선 안 된다”고 입을 모았다.
브야스 회장은 “디자인의 중심이 자아(ego)에서 생태(eco)로 이동하고 있다”며 “이 어워드는 그 전환의 상징”이라고 말했다.
이해원 기자 umi@hankyung.com

20 hours ago
2









![엄지성 이어 조규성·이한범도 포스텍 울렸다! 미트윌란, 노팅엄 원정서 3-2 승리…포스텍의 노팅엄, ‘패패무무패패’ 멸망 [유로파리그]](https://pimg.mk.co.kr/news/cms/202510/03/news-p.v1.20251003.f2964094c0e0447f84af28c5f48d0e9a_R.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