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관세 충격에 창고료·운임 폭등까지…'삼중고' 빠진 중기

1 day ago 3

[취재수첩] 관세 충격에 창고료·운임 폭등까지…'삼중고' 빠진 중기

“관세를 내려고 현지 법인이 은행 대출까지 받았습니다. 보이지 않는 비용이 너무 많은데 정부는 전혀 모르는 것 같습니다.”

미국으로 기계를 수출하는 한 중소기업 대표가 최근 기자를 만나 “수출 기업에 관세는 단지 ‘관세율’만큼의 부담이 아니다”며 이렇게 하소연했다. 그에게 들은 수출 기업의 상황은 막막함 그 자체였다.

지난 4월 미국 정부가 10% 기본관세를 매긴 지 3개월이 지났다. 그간 수출된 물량에 10% 관세가 부과됐지만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 때문에 현지 가격을 조금도 올리지 못했다. 온전히 관세는 수출 기업 몫이 됐다. 이 때문에 현지 법인은 수백만달러의 은행 대출을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부대 비용마저 급증했다. 한·미 관세 협상이 마무리될 때까지 통관을 미루기 위해 확보한 보관 창고 대여비는 몇 달 새 두 배 넘게 올랐다. 현재 미국 서부 항만의 보세창고는 일반 창고 비용의 네 배를 줘도 구하기 힘들다.

해운 운임 역시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지난달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한 달 만에 67% 뛰었다. 미국이 대중 상호관세를 유예하자 중국 기업이 미국 내 재고 쌓기에 나서면서다. 해운 운임은 이달 들어 안정세를 찾았지만 여전히 5월 대비 20%가량 높다. 중소기업 대표는 “모든 기업이 미국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다 보니 배와 창고를 구하기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며 “관세율이 10%라도 실질 부담은 이미 15% 이상”이라고 토로했다.

정부가 관세 피해 기업을 위해 25조원 규모 정책금융 지원책을 내놨지만 실제로는 큰 도움이 안 된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수출 바우처 중 물류비 지원액은 기업당 최대 3000만원에 그친다. 40피트짜리 컨테이너 하나를 미국 서안으로 보내는 데 물류비 4000달러(약 550만원)가 드는 것을 감안하면 컨테이너 6개를 보내는 금액에 불과한 셈이다. 정부가 해외 물류창고를 시중가 대비 10~15% 저렴한 비용으로 중소·중견기업에 제공한다고 하지만 한국 정부는 로스앤젤레스(LA)와 조지아에 두 개 창고만 확보했을 뿐이다.

기업들은 “진짜 위기는 이제부터”라고 우려한다. 관세 부과 전에 쌓아둔 3개월가량의 재고가 동나면 더 이상 가격 인상을 미루기 어려워서다. 지난 2분기 대미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했다. 25% 상호관세가 다음달부터 예정대로 부과돼 현지 제품 가격을 올리면 한국의 대미 수출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관세 후폭풍이 강타하기 전에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