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관세 전면전’을 선포하면서 수출 비중이 높은 아시아 주요 증시가 일제히 주저앉았다. 시장 예상보다 훨씬 강도 높은 관세율이 발표되자 글로벌 경기 침체가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증시를 덮쳤다.
3일 한국 코스피지수는 0.76% 내린 2486.70에 거래를 마쳤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2.77% 급락한 34,735.93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35,000선 아래로 내려앉았다. 그동안 글로벌 국가의 제조기지 역할을 해온 동남아시아 증시도 고강도 관세율을 맞닥뜨리자 무너졌다. 46%의 상호관세율을 부과받은 베트남의 VNI지수는 6.68% 급락했다. 홍콩 항셍지수(오후 4시 기준)도 1.60% 내렸다.
미국 주가지수 선물도 급락했다. 애플, 엔비디아, 아마존 등 빅테크 종목 위주인 나스닥100 선물은 3.39%, S&P500 선물은 2.96% 떨어졌다.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각국의 경기 침체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며 글로벌 투자자금이 안전자산으로 쏠렸다. 국제 금 현물 가격은 이날 한때 트로이온스당 3167.84달러를 기록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작년 10월 중순 이후 최저인 4.06% 수준으로 낮아졌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시장이 전망한 시나리오 중 최악의 관세율”이라며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에 진입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고 말했다.
외국인 1.4兆 던졌다…전기전자·해운·금융株 '직격탄'
"불확실성 정점 지나" 전망 반영…오후들어 코스피지수 낙폭 줄여
이날 국내 증시가 관세 충격을 받은 가운데 전기전자와 해운, 금융 업종이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삼성전기(-8.50%), LG이노텍(-6.44%), LG전자(-5.81%) 등 전기전자 기업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46%의 상호관세를 맞닥뜨린 베트남 등에 생산 거점을 보유한 기업들이다. 이번 상호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교역이 더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더해졌다.
HMM(-3.89%), 대한항공(-2.55%) 등 운송·해운 업종도 약세를 보였다. 강달러 기조가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KB금융(-4.22%) 등 금융업종도 일제히 하락했다. 가까스로 ‘이중관세’를 피했지만, 현대차(-1.27%) 기아(-1.41%) 등도 마찬가지였다.
다만 ‘관세 불확실성’이 정점을 지난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뒤늦게 힘을 받으며 오전에 3% 가까이 떨어지던 코스피지수는 오후 들어 낙폭을 줄였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하루 앞두고 국내 증시를 짓눌러온 가장 큰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증시에서 이날 외국인 투자자는 1조4437억원어치의 매물 폭탄을 던졌지만 개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가가 각각 8618억원, 4646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지수를 방어했다.
증권가에선 당분간 증시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강도 높은 관세를 부과받은 각국이 잇따라 보복 관세 카드를 꺼내들 때마다 증시가 휘청일 수 있어서다. 트럼프 1기 당시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25% 관세를 부과한 2018년 7월 이후 그해 말까지 코스피지수는 12.25% 하락했다. 다만 미국과 각 국가가 본격적인 협상에 돌입한 뒤 최종 관세율이 낮아지면서 증시가 반등할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상장사 실적이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하고 있는 점은 이 같은 전망에 힘을 보태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상장사 101개의 올 1분기 영업이익 합산치는 37조6410억원으로, 1개월 전(30조2043억원) 대비 1.17% 늘었다.
최종혁 씨스퀘어자산운용 대표는 “글로벌 관세뿐 아니라 탄핵, 공매도 재개 등 국내 증시를 짓누르던 불확실성이 본격적으로 해소되는 시점에 도달했다”며 “국내 증시는 하반기로 갈수록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진우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도 “시총 비중이 가장 큰 반도체 업황이 바닥을 통과하고 있는 만큼 증시가 상승할 여력은 남아있다”고 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비현실적인 관세율 때문에 오후 들어 시장 참가자들은 오히려 협상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데 방점을 찍고 저가 매수에 나섰다”며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선고를 하루 앞둔 이날이 단기 불확실성의 정점일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심성미/이시은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