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문처럼 이어붙인 캔버스…몽환적 풍경을 담다

4 weeks ago 4

문화

창문처럼 이어붙인 캔버스…몽환적 풍경을 담다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젊은 작가 김은정(39)이 서울 삼청동 학고재 갤러리에서 3년 만에 개인전을 열고, 일상 속 풍경을 몽환적으로 표현한 37점의 회화 작품을 선보인다.

작가는 홍익대에서 사진과 판화를 전공했으며, 캔버스를 나란히 이어 붙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실험적인 요소가 두드러진다.

전시는 11월 8일까지 진행되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한강의 초상화도 전시되어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김은정 작가 학고재 개인전
사진·판화 기법 회화에 실험
'노벨상 수상' 한강 초상화 눈길

'고래 나무 물사슴', 2025, 캔버스에 유채.  학고재

'고래 나무 물사슴', 2025, 캔버스에 유채. 학고재

"오래된 감나무가 기세 좋게 두 화면을 가로질러 뻗어있어. 꼭대기에 앉은 잿빛 새는 사각의 화면을 내려다보고 눈길이 머무는 곳엔 뛰거나 헤엄치는 고라니들이 여럿 지나가. 그거 알아? 고라니의 다른 이름이 물사슴이야." 서울 삼청동 학고재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여는 젊은 작가 김은정(39)은 매일 일기를 쓴다. 그것도 아침에. 일종의 작업노트인 그날의 일기엔 날씨를 쓰고, 또 무엇을 그리고 있는지 진행 상황을 적는다. 그러고는 운동화 끈을 조여 매며 뛰기 시작한다. 이달 초 간담회에서 만난 작가는 "저는 겁이 많은 편"이라며 "오늘도 뛰고 왔다"고 말했다.

3년 만에 마련된 이번 전시는 작가가 일상에서 포착한 풍경들을 몽환적인 분위기로 풀어낸 회화 작품 37점을 선보인다. 폭우가 쏟아진 다음 날 생긴 폭포에서 신나게 뛰어노는 고라니, 가게 앞에서 바둑을 두는 아저씨들, 애착 인형을 들고 뛰는 아이가 그렇다. 지난해 노벨 문학상을 받은 한강 초상화도 전시장 벽에 걸렸다. 스웨덴에서 검은 드레스를 입고 노벨상 수상 소감을 발표하는 모습이다.

작가는 홍익대에서 사진과 판화를 전공했다. 그래서인지 화폭엔 실험적 요소가 다분하다. 창문 양쪽처럼 캔버스를 나란히 이어 붙여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식이다. 여름 초입 산란기를 맞은 백로들이 나무 하나에 모여 알을 낳는 광경을 담은 '부리 물고기 뿌리'는 6개의 캔버스를 하나로 모은 작품이다. 각각 떼어내도 개별적 작품으로 존재한다. 캔버스를 이어 붙이면서 필연적으로 틈이 생기는데 이 틈을 통해 작가가 만든 이미지는 '무작위로 편집된 세계'라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전시는 11월 8일까지.

[이향휘 선임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