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22일 중동 사태 대응을 위해 미국, 이스라엘 현지와 화상 회의를 통해 긴급 점검에 나섰다. 현재까지 에너지 수급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향후 확전에 따라 영향이 있는 만큼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이어갈 계획이다.
![]() |
산업통상자원부가 22일 중동 사태에 따른 비상대응반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
산업부는 이날 오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서 최남호 2차관 주재로 비상대응반을 가동했다고 밝혔다. 회의에서는 이스라엘 현지 무역관과 화상으로 연결하고, 미국의 이란 공격 이후 에너지, 수출, 물류, 공급망, 진출기업 등에 미치는 영향을 긴급 점검이 이뤄졌다.
최 차관은 “중동의 상황이 현재보다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 철저히 대비하고 유사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긴장감을 가지고 업무에 만전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산업부는 현재 석유과 가스 수급, 수출, 공급망 등 우리 산업 영향이 아직짜지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했다. 현재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중인 국내 석유·가스 도입 선박은 정상 운항 중이며, 국내 도입에도 이상이 없다. 산업부는 현재 일일 에너지 수급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정유사와 석유·가스공사등과 함께 수급 위기 대응계획을 점검하고 있다.
한국의 대중동 수출 비중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약 3%를 차지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다. 또 이스라엘 등 중동 국가 의존도가 높은 일부 소재·부품·장비도 대체 수입이 가능하거나 재고가 충분하다.
김동준 텔아비브 무역관장은 이날 회의를 통해 “현지 진출한 우리 기업들은 모두 안전한 상황이며 브롬 반도체 장비 등 공급망도 차질없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향후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유사시에는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추겠다”고 언급했다.
다만 앞으로 확전 또는 호르무즈 해협 통항 금지가 이뤄질 수 있는 만큼 산업부는 비상 대응 체계를 유지한다. 지난해 4월 중동 사태 이후 산업부는 2차관을 실장으로 하는 종합상황실과 분야별 비상대응반을 유지중이다. 또 관계기관 합동 모니터링을 통해 유사 시 신속한 대응 체제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