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로젠퀴스트 개인전
서울 타데우스 로팍서 펼쳐
한 여성의 한쪽 얼굴을 그린 그림이 단단한 프레임 안에 갇혀 있다. 사방에서 뻗어나온 끈들은 여성의 얼굴을 옭아맨 채 잡아당긴다. 그 힘이 어찌나 강한지, 피부 같은 캔버스 천이 팽팽하게 펴지다 못해 가장자리가 조금씩 늘어나고 살짝 찢기기도 했다. 하지만 여성의 눈빛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는 듯 무언가를 또렷하게 응시하고 있다. 수수께끼 같은 이 작품은 미국 팝 아트의 선구자 제임스 로젠퀴스트의 '침대스프링'(1962).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보는 시선에도 자기 길을 가는, 주체적인 여성의 모습을 은유한 것이다.
로젠퀴스트의 개인전 '꿈의 세계: 회화, 드로잉 그리고 콜라주, 1961~1968'가 서울 용산구 한남동 타데우스 로팍에서 내년 1월 25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로젠퀴스트가 작가로서의 입지를 확립하고 당대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로 부상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1960년대 10년의 시기를 조명한다. 회화와 스케치, 콜라주 등 10여 점을 한자리에 펼친다.
1960년대 로젠퀴스트는 회화 평면의 본질에 집중하며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작가는 옥외 광고판 화가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잡지에서 찾은 대중적 이미지를 결합한 콜라주 기법을 사용했고, 다양한 도상을 파격적 비율로 병치하거나 일상 사물을 작업에 활용해 독특한 시각적 어휘를 구축했다. 전자회사 GE의 로고가 등장하는 '착란원 GE를 위한 연구'(1966)와 단편적인 이미지의 결합으로 완성된 '그림자'(1961) 등이 대표적이다.
가로 5.4m, 세로 2.4m의 초대형 네폭화 '플레이메이트'(1966)는 15년 만에 대중에게 공개됐다. 플레이메이트는 미국의 성인잡지 '플레이보이'의 표지를 장식하던 모델을 지칭하는 말이다. 화면 중앙엔 여성의 상반신이 있고 양옆의 피클과 딸기, 크림 등은 먹음직스러운 모습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플레이메이트와는 다르다. 작가가 화면에 등장한 여성은 임신부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아름다운 여성의 몸을 향한 욕망 가득한 시선을 의도적으로 비튼 것이다.
[송경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