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소 고로 옆 ‘이글루 쉼터’-공장에 ‘냉방 버스’… 기업들도 폭염과 씨름

6 days ago 7

[7월 극한 폭염]
폭염 경보땐 45분 근무-15분 휴식
‘연이틀 체감 35도’ 외부작업 중단도
정부, 中企 지원 150억 긴급 투입

연일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9일 서울 시내 한 택배물류센터에서 노동자가 택배 분류 작업 중 더위를 식히고 있다. 2025.7.9.뉴스1

연일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9일 서울 시내 한 택배물류센터에서 노동자가 택배 분류 작업 중 더위를 식히고 있다. 2025.7.9.뉴스1
“올해는 다른 해보다 더위가 너무 빨리 찾아와서 더 힘듭니다. 냉방버스 에어컨 바람이 이렇게 소중하네요.”

10일 경남 거제시 한화오션 해양플랜트 현장에서 용접 업무를 하는 홍순 씨가 이렇게 말했다. 이날 거제의 기온은 30.7도로 다른 지역보다 다소 낮았지만 달궈진 쇳덩이로 둘러싸인 작업장의 온도는 40도를 웃돌았다.

7월 이른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외부 작업장이 있는 조선, 건설사와 물류업체 등이 잇따라 근로자 온열 질환 예방을 위한 조치에 나서고 있다. 냉방 시설을 확충하고 휴식 시간을 늘리는 한편 온열질환자 발생 시 대응법 등을 교육하고 나섰다.

한화오션은 올해부터 7~9월 하계 기간 작업자들의 땀을 식히기 위해 냉방버스를 새롭게 운영한다. (한화오션 제공) 뉴스1

한화오션은 올해부터 7~9월 하계 기간 작업자들의 땀을 식히기 위해 냉방버스를 새롭게 운영한다. (한화오션 제공) 뉴스1
한화오션은 해양플랜트 건조 구역에서 일하는 실외 근로자들을 위한 ‘냉방 버스’를 10일 긴급 투입했다. 9월까지 이 버스를 작업장 곳곳으로 순환시키며 근로자들이 에어컨 바람을 쐬며 휴식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중공업도 회사 차원에서 ‘폭염 대응 태크스포스(TF)’를 가동하고 야외 작업장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있다. 작업 현장에는 제빙기와 이동식 에어컨을 설치하고, 살수차를 동원해 수시로 물을 뿌린다. 건강관리 알림을 스마트폰으로 개별 발송해 야외 근로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도 했다.

건설 현장에서도 더위가 심하면 아예 작업을 중단하는 등 폭염 사고를 막기 위한 대책을 세웠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체감온도가 35도 이상인 날이 이틀 이상 이어지면 아예 외부 작업을 전면 중단하라고 현장에 지시했다. 한화건설도 건강에 이상을 느낀 근로자가 스스로 작업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한 ‘안전신문고’(근로자 작업중지권)를 운영해 사고를 예방한다는 계획이다. 부영그룹도 폭염경보 발령 시에는 45분 근무·15분 휴식, 폭염주의보 발령 시에는 50분 근무·10분 휴식을 의무화했다.

포스코는 고로 근처 등 고온이 발생하는 현장마다 ‘이글루’라는 간이 냉방(冷房)실을 설치해 교대로 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위험성 있는 사업장을 불시 단속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시한 데다 7일 경북 구미의 한 공사장에서 폭염 속에 일하던 베트남 국적 노동자가 사망하자 경영진도 사고 예방을 주문하고 있다.

조현민 ㈜한진 사장은 지난달 25일과 이달 1일 연달아 폭염사고 예방 현장 점검에 나섰다.

HD현대 역시 최근 권오갑 회장이 사장단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사장들이 직접 현장에 나가 각종 안전 현황을 점검하라”며 온열사고 예방 조치를 포함한 각종 산업안전 조치를 면밀히 수행하라고 당부했다.

연일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9일 서울 시내의 건설현장 노동자들이 야외에서 근무를 하고 있다. 2025.07.09.뉴시스

연일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9일 서울 시내의 건설현장 노동자들이 야외에서 근무를 하고 있다. 2025.07.09.뉴시스
정부도 자체 폭염 대책 수립이 어려운 중소기업 지원에 나선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4일 통과된 추가경정예산 중 150억 원을 확보해 50인 미만 사업장에 이동식 에어컨과 제빙기 등 온열질환 예방 장비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규제개혁위원회는 11일 33도 이상 폭염에서 작업할 때 2시간 이내에 ‘20분 이상 근로자 휴식’ 의무화 여부를 결론 낼 예정이다. 고용부는 폭염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해당 조항이 사고 위험을 낮추기 위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원주 기자 takeoff@donga.com
윤명진 기자 mjlight@donga.com
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