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살아있기를”…‘울산화력 붕괴’ 실종자 수색 난항, ‘포켓 생존’ 기적 기대

3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가 붕괴된 사태로 실종자 2명을 구조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소방 당국은 생존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색을 지속하고 있다.

구조 활동은 고립된 매몰자들에게 통기 공간이 존재할 수 있어 기적을 기대할 여지가 있지만, 철재 구조물로 인한 부상 위험도 있다.

현재 소방 당국은 다양한 장비와 인력을 투입하여 구조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접근의 어려움으로 인해 한계에 봉착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 [사진출처=연합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 [사진출처=연합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가 지난 6일 붕괴되면서 매물된 실종자 2명을 구조하는 작업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소방 당국은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8일 현재 참혹한 사고 현장과 인명 구조 ‘골든타임’인 72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생존 가능성도 있어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무너진 보일러 타워는 가로 25m, 세로 15.5m, 높이 63m로 거대하다. 거의 모든 구조물은 철재로 구성됐다.

철재 구조물 붕괴로 발생하는 매몰은 콘크리트 건축물이나 흙더미에 매몰된 것과 다른 피해 양상을 보인다.

사방이 꽉 막히는 완전한 고립은 피할 수 있어 호흡할 수 공간이 있을 수 있다. 구조될 때까지 버틸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큰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공간인 ‘포켓’이 형성됐고, 그 안에 있다면 기적을 기대할 수도 있다.

다만, 무겁고 날카로운 철재가 덮쳤다면 관통·골절 등으로 부상을 당했을 수 있다.

실제 이번 사고 직후 1시간 20분 만에 구조물에 팔이 낀 채 발견된 김모(44)씨는 당시 소방대원과 의사소통이 가능할 정도로 의식이 또렷했다.

김 씨를 꺼내는 작업은 난항을 겪었고, 14시간 가량을 버틴 그는 구조 마무리 단계에서 버티지 못하고 끝내 숨졌다.

기온에 따라 빨리 달아오르거나 차갑게 식는 철재 특성 때문에 고립된 매몰자도 체온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사고 이튿날인 7일 울산의 최저 기온은 9.5도를 기록했다. 바닷가에 있는 사고 현장에는 강한 해풍까지 가세해 체감온도는 훨씬 낮을 수밖에 없다.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구조작업 [사진출처=소방청]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구조작업 [사진출처=소방청]

소방 당국은 5인 1조로 편성된 구조대를 교대로 투입하고 있다. 절단기와 유압 스프레더 등 장비를 이용해 빽빽한 철 구조물의 틈을 벌리며 조금씩 전진하는 방식으로 매몰자들을 찾고 있다.

구조견, 드론, 음향탐지기, 내시경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등 가용할 수 있는 수단도 모두 총동원했다.

김정식 울산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현장 브리핑에서 “구조물 내 철재 빔 등이 있기 때문에 접근이 굉장히 어렵다”며 “현재 장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