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에만 '4조원' 썼다…HUG, 지난해 2조5198억원 적자

21 hours ago 2

서울의 빌라 밀집 지역 모습. 사진=한경DB

서울의 빌라 밀집 지역 모습. 사진=한경DB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지난해 2조5000억원대 순손실을 기록했다.

3일 HUG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2024년도 결산공고'에 따르면 순손실은 2조5198억원으로 집계됐다.

HUG는 2022년 적자로 돌아선 뒤 3년 연속 적자를 냈다. 3년간 누적 순손실은 6조7883억원에 달한다.

순손실의 주된 원인은 2022년부터 빌라·오피스텔을 중심으로 급격히 늘어난 전세보증사고다.

지난해 HUG의 전세보증, 분양보증,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등을 포함한 대위변제액은 6조940억원이다. 전년 4조9229억원 대비 23.7%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전세보증 가입 세입자에게 집주인 대신 내준 전세금만 4조원에 육박하는 3조9948억원이다.

다만 전년 순손실 3조8598억원에 비하면 지난해는 대위변제액이 늘었는데도 순손실 규모가 줄었다.

HUG는 "적극적인 채권 회수 노력으로 지난해 채권 회수 금액이 1조5186억원을 기록, 전년보다 9530억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통산 채권 회수에 1~2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2022년부터 급증한 전세사기 대위변제액 회수가 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HUG는 지난해 5월부터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의 담보인정비율을 기존 100%에서 90%로 낮추는 조치도 취해 올해 재무 실적이 더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