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탈전은 왜 했던 거야?’ 日 최고라던 사사키 어쩌나

6 hours ago 3

사사키 로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사키 로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동아닷컴]

대체 그토록 치열했던 경쟁은 왜 한 것일까. 사사키 로키(24, LA 다저스)가 메이저리그 데뷔 후 실망스러운 모습만 보인 채 사라졌다.

LA 다저스는 지난 14일(이하 한국시각) 사사키가 오른쪽 어깨 충돌 증후군으로 15일 부상자 명단에 오른다고 전했다.

당장이라도 메이저리그 마운드를 점령할 것과 같은 지난 겨울의 모습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상태가 된 것.

사사키는 부상 이탈 전까지 시즌 8경기에서 34 1/3이닝을 던지며, 1승 1패와 평균자책점 4.72 탈삼진 24개를 기록했다.

우선 경기당 5이닝도 던지지 못했다. 이에 사사키의 선발 등판 경기에서는 늘 불펜이 많은 이닝을 소화했다. 불펜 과부하의 주범.

사사키 로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사키 로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또 사사키는 9이닝당 볼넷 5.8개를 기록했다. 이는 9이닝당 탈삼진 6.3개보다 살짝 적은 수치. 사사키는 자신감 없는 모습으로 볼넷을 남발했다.

여기에 피홈런 역시 적지 않았다. 34 1/3이닝 동안 무려 6방의 홈런을 맞았다. 이에 사사키는 평균자책점 4.72보다 높은 FIP 6.16을 기록한 뒤 사라졌다.

사사키의 부진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공인구 적응 문제로 인한 구속 감소, 일본 프로야구에서와 같은 대우 등.

사사키 로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사키 로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우선 사사키는 평균 96.3마일(약 155km)의 포심 패스트볼을 던졌다. 이는 결코 느리지 않은 구속. 하지만 일본 프로야구에서 보여준 강속구와는 차이가 있다.

또 사사키는 공 회전수에서 평균 이하의 모습을 보였다. 즉 타자에게 구속만큼의 위력이 느껴지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사사키 로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사키 로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특히 사사키는 일본 프로야구에서 귀족 대우를 받으며 마운드에 올랐다. 하지만 메이저리그에서 이러한 대우를 바랄 수는 없는 것.

사사키가 가진 약점이 메이저리그 데뷔 후 한 순간에 모두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여기에 어깨 부상까지 겹쳤다.

사사키 로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사키 로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물론 사사키는 아직 어린 투수. 이에 성장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하지만 분명 메이저리그 30개 구단이 모두 달려들 만큼의 투수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조성운 동아닷컴 기자 madduxly@donga.com

Copyright © 스포츠동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