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차 보다 비싼 현대차? 고객들 떠날 것”...가격인상 선 그은 무뇨스 사장

6 hour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대차는 일본차의 가격 경쟁력 강화에도 불구하고 관세 인상에 대한 가격 인상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호세 무뇨스 사장은 수요와 공급의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매출 증가를 통해 한계를 극복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현대차는 한국 생산량을 증가시키면서도 해외에서의 현지화 생산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뉴욕 간담회

가격인상은 신차 출시 사이클 맞출 것
관세에 상황 어려워졌다 인정하면서도
어렵다고 포기하면 비즈니스 잃어

대미투자 확대로 국내 공동화 우려엔
미국선 韓에 없는 차량으로 현지화

18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더 셰드에서 열린 인베스터데이에서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현대차

18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 더 셰드에서 열린 인베스터데이에서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현대차

미국 시장에서 관세가 낮아진 일본차와 가격역전이 현실화된 가운데 현대차가 관세발 가격인상에 선을 그었다. 매년 신차 출시를 계기로 가격을 인상하는 사이클에 맞춰 수요 창출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18일(현지시간) 뉴욕 인베스터데이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지금 상황에서 가격을 올린다고 하면 시장에서 ‘실기’가 되고 고객들은 현대차를 구매하지 않게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먼저 미국과 관세협상을 타결지은 일본은 지난 16일부터 관세율이 종전 25%에서 15%로 줄었다. 미국과 협상이 지지부진한 한국은 여전히 25%를 적용받고 있다.

무뇨스 사장은 “단순히 관세 때문에 가격을 인상할 수는 없다”며 “이런 상황에선 똑똑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가격은 수요, 공급과 연관돼 있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 밸런스를 최적화하는게 중요하다”며 “매년 여름께 새로운 모델들을 출시하면서 새로운 기능들을 탑재하고 가격을 올리는 사이클이 있는데 새 제품을 출시한 다음 가격을 올릴 수는 있다”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

당장 일본과 가격역전에 따른 매출 타격은 불가피하다. 무뇨스 사장은 “일본이 더 낮은 관세때문에 우위에 있다고 할수 있지만 그렇다고 포기하기엔 이르다”며 “포기하면 비즈니스 전체를 잃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기 때문에 최고의 상품과 퀄리티를 내는게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관세로 비용은 오르겠지만 매출을 높이면 되고, 매출을 높이면 마진도 좋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승조 현대차 재경본부장은 “올해는 재고를 쌓아놓은 덕분에 6개월 정도만 관세 영향을 받았지만 내년에는 12개월 내내 영향을 받게 되고 상황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올해 도움이 됐던 환욜효과도 앞으로 예측할 수 없어 상황이 쉽지 않은 것만은 분명하다”고 우려했다.

미국, 중국 등에 현대차의 과감한 투자로 국내 자동차산업 ‘공동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지만 현대차는 한국 생산량 역시 끌어올릴 계획이다. 앞서 현대차는 2030년까지 글로벌 판매량은 555만대로 늘리고 미국 현지 생산비중을 현재 40%에서 일본차 등 경쟁사보다 높은 8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투자계획을 내놨다.

무뇨스 사장은 “만약 미국에 투자하면서 성장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면 한국 공장에 대해 걱정했어야겠지만 투자자들에 성장하겠다고 말한 것은 자신감이 있어서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서 생산하지 않는 차량을 해외에서 생산하는 현지화 생산을 할 것”이라며 “한국 사업이 잠식되는 일은 없고 오히려 성장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차량 생산량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울산공장 생산능력을 20만대 상향하는 계획을 내놓은바 있다.

한편 최근 시행된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 대한 외국 투자자들의 우려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본부장은 “그동안 기업들 입장에서 법안 시행에 따른 어려움을 건의해왔는데 (이번에 만난) 현지 투자자들도 같은 우려를 표명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일단 입법이 됐으니 그에 맞춰 노력하고 최선을 다해서 법을 지킬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