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도 구직도 안 해요”…20대 ‘쉬었음’ 인구 42만 역대 최대

5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7월 취업자 수가 17만명이 증가했으나, 제조업과 건설업의 고용 부진으로 고용 증가세는 둔화되었다.

특히,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20대 ‘쉬었음’ 인구가 42만1000명에 달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반면, 전체 실업자는 72만6000명으로 감소하며 실업률이 2.4%로 나타나, 1999년 통계 시작 이후 7월 기준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7월 취업자 17만 명 증가
고용 증가폭 둔화
제조·건설 고용 부진 지속
청년 일자리 부족

지난해 9월 11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열린 ‘이화 잡 페어’를 찾은 취업준비생들이 기업 부스에서 상담을 받고 있다. [한주형 기자]

지난해 9월 11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열린 ‘이화 잡 페어’를 찾은 취업준비생들이 기업 부스에서 상담을 받고 있다. [한주형 기자]

7월 취업자 수가 17만명 가량 늘면서 2개월 연속 10만명대 증가 폭을 이어갔다. 다만, 제조업·건설업 고용 부진과 청년 일자리 부족이 이어지면서 전반적으로 고용증가세는 둔화됐다.

특히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20대 ‘쉬었음’이 42만1000명으로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902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1000명 늘었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3월 19만3000명을 기록한 이후 4월 19만4000명, 5월 24만5000명, 6월 18만3000명 등 20만명 안팎에 머물고 있다. 두 달째 축소하며 지난 2월(13만6000명) 이후로는 최소치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7만8000명 줄며 13개월째 줄었다. 건설업 취업자도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는데, 9만2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9월 ‘고졸성공취업창업 페스타’가 서울 양재at센터에서 열린 가운데 참가 학생들이 박람회장을 돌아보고 있다.[이승환 기자]

지난해 9월 ‘고졸성공취업창업 페스타’가 서울 양재at센터에서 열린 가운데 참가 학생들이 박람회장을 돌아보고 있다.[이승환 기자]

숙박음식업 취업자는 7만1000명 감소하며 3개월 연속 줄었다. 감소 폭이 코로나 팬데믹 와중이던 2021년 11월(-8만6000명) 이후 3년8개월 만에 가장 컸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비쿠폰이 조사 기간 이후에 발행돼 아직 효과가 반영돼 있지 않다. 음식·주점업에서 많이 감소했고, 숙박업은 증가세”라고 말했다.

농림어업도 농·어가가 구조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더해 4월 한파·냉해, 7월 폭염·폭우 등 이상 기후 영향이 겹치며 12만7000명 줄었다. 농림어업 숙련종사자도 13만명 감소했다.

반면 보건업과 사회복지서비스업(26만3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9만1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4만2000명)과 30대(9만3000명)에서는 취업자가 늘고, 20대(-13만5000명)에서는 크게 줄어드는 현상이 이어졌다. 특히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5만8000명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가 31만9000명 증가했다. 임시근로자도 1만6000명 늘었다. 반면 일용근로자는 4만8000명 줄었다.

금융권 취업스쿨 세미나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하소윤 인턴기자]

금융권 취업스쿨 세미나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하소윤 인턴기자]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 등 비임금근로자도 11만6000명 감소했다.

고용률(15세 이상)은 63.4%로, 작년 동월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7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실업자는 72만6000명으로 작년보다 1만1000명 줄었다. 실업률은 2.4%였다. 1999년 관련 통계 기준 조사 이래 7월 기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취업자와 실업자를 포괄하는 경제활동 인구는 2975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명 증가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00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8000명 늘었다. 이 가운데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6만9000명 증가했다.

특히 20대 쉬었음은 42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5000명 늘었다. 200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로 7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