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정치보다 현실…추경 필요, 침묵할 수 없었다”

4 hours ago 1

“계엄 후 추경 언급, 정치 편향으로 비칠 수 있었지만 현실 고려”
“시간이 옳고 그름 평가해 줄 것”…한미 관계는 한층 발전 기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외교정책협회(FPA) 시상식에서 ‘FPA 메달’을 수여받은뒤 수상 소감을 밝히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외교정책협회(FPA) 시상식에서 ‘FPA 메달’을 수여받은뒤 수상 소감을 밝히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해 말 비상계엄 사태 이후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필요성을 언급한 데 대해 “중앙은행 총재로서 침묵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중앙은행가는 정치 중립을 유지해야 하지만, 경제학자는 때로는 정치인만큼 현실적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외교정책협회(FPA) 메달을 수상한 뒤 만찬사와 시상 소감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 가능성 속에서 재정정책 발언이 정치적 편향으로 비칠 수 있었지만, 내수 위축과 성장률 하락 대응 차원에서 금리 인하와 함께 일정 수준의 추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추경이 초당적으로 통과된다면 한국 경제 정책이 정치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는 신호를 국제사회에 줄 수 있고, 이는 국가신용등급 방어에도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한은의 비선출 권력이라는 특성에 힘입어 정치적 오해를 받을 수 있는 사안에 대해 균형 잡히고 치우치지 않은 평가를 내리고, 객관적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며 “시간이 제 발언의 옳고 그름을 평가해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의 관세 부과 등으로 인한 세계 경제 불확실성과 관련해서는 “국제통화기금(IMF)도 세계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할 예정”이라며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는 관세 인상 등 대외 환경 변화에 특히 취약하다”고 경고했다.

다만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미국의 기여를 언급하며 “복잡한 지정학적 긴장, 무역 갈등 속에서도 굳건한 한미 관계는 한 단계 더 발전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기대했다.한은에 따르면 미국 비영리 기관인 외교정책협회가 수여하는 메달은 국제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책임감 있는 국제적 지도력을 보여준 인물에게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이다.

역대 수상자로는 장클로드 트리셰 전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폴 볼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 등이 있다.

이 총재는 이후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IMF 춘계회의에 참석해 글로벌 통화당국과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