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25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가진 한국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제가 받았던 첫 번째 핵심 메시지가 불확실성”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춘계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을 찾았다.
이 총재는 “여러 나라가 (미국과) 관세 협상을 하고 있는데, 협상이 진전되면 달러나 금융시장이 다시 안정될 것이냐 아니면 오래 갈 것이냐 이런 불확실성에 대한 논의가 제일 많았다”며 “불확실성이란 단어가 일주일 내내 따라다녔다”고 참석한 회의 내용들을 복기했다.
그러면서 “회의에서 논의된 시나리오 중 상호관세가 없어지지 않고 계속되는 시나리오나, 중국을 뺀 나머지 국가에 대한 관세는 90일 뒤에 없어지는 시나리오나 성장률 차이는 거의 없었다”며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가 25%이건 아니건 중국에 대한 관세가 훨씬 높아졌고 이에 중국이 보복한 효과가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 면제 효과를 상쇄시켰다”고 설명했다.이 총재는 “현실적으로 중국을 공급망에서 배제하고 무역을 얘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전 세계가 중국과 많이 연관돼 있다”며 “그래서 미중이 어떻게든 협상을 빨리해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압박이 (여러 회담에서) 미국과 중국 쪽으로 많이 갔다”고도 전했다.
향후 미중 협상 전망에 대해서는 “빨리 미국하고 중국하고 뭔가 합의가 돼야 전 세계가 편해지지 않겠느냐”며 “전망보다는 바람”이라고 답했다.
이 총재는 전날 열린 ‘한미 2+2 통상협의’ 관련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환율 정책을 양국 재무 당국이 별도로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힌 것 관련해서는 “미 재무부와 우리 기재부가 직접 얘기하자고 한 것은 정치인이나 무역만 생각하는 쪽하고 얘기하는 것보다 오히려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했다.국내 정치 상황에 따른 경제적 영향에 대해서는 “정치적 리스크는 많이 개선됐는데, 아직 완벽하게 계엄 전 상태로 돌아간 것은 아니다”며 “6월 3일 대선이 끝나면 그 계기로 완전히 해소가 완전히 안정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박성진 기자 psjin@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