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생식기에 필러를 주입하는 시술을 받은 국내 30대 여성 2명이 사망한 사례가 의학 학술지에 공개됐다. 질 주변에 몰려 있는 혈관으로 들어간 필러가 혈관을 막은 탓으로 분석됐다.
3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법의학과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의료진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질 필러’를 맞고 사망한 38세 여성 A씨와 35세 여성 B씨의 사례를 분석한 논문을 한국법의학저널 2월호에 게재했다.
7개월동안 4차례에 나눠 47㎖의 필러를 생식기 부위에 주입한 A씨는 산부인과에서 마지막 시술을 받고 귀가하던 중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져 응급실로 이송됐지만, 입원 열흘만에 사망했다.
부검 결과 A씨의 질에서는 대형 혈전이 발견됐다. 많은 양의 필러가 질 후방 벽에 주입돼 있었으며, 폐에서는 혈액이 빠져 나가지 못해 몰려 있는 ‘울혈’ 현상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필러가 질 주변 혈관으로 확산되면서 혈관을 막은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B씨는 질 필러 시술을 받은 지 4분 만에 심장마비가 일어났고, 이후 한 달간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저산소성 뇌 손상과 폐렴으로 결국 사망했다.
부검 결과 B씨의 질 점막하층과 근육층 등 일부 혈관에서 필러로 인한 색전증(혈관 안이 덩어리에 의해 막힌 것)과 비혈전성 폐색전증이 확인됐다. 비혈전성 폐색전증은 지방이나 공기 등 정상적인 혈관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물질이 폐순환을 따라 이동해 혈관을 막는 현상이다. 이 경우 필러 물질이 질의 혈관을 따라 이동해 색전증을 유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필러를 얼굴이나 엉덩이 등에 주입할 경우에도 비혈전성 폐색전증이 발생할 수 있지만, 질은 구조상 위험성이 훨씬 크다"며 "질은 광범위한 정맥총(정맥이 가늘게 나눠어 입체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둘러싸여 있어 필러를 주입하기에 위험한 부위"라고 설명했다.
질 필러 시술은 질 내부 볼륨을 키워 성감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일부 병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등의 산부인과학회는 여성 생식기에 대한 미용시술에 반대하고 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팀은 "한국에서도 국립산부인과 의료기기평가부에서 질 주사를 승인하지 않았고, 적응증도 없기 때문에 질 필러 시술을 하는 의사는 환자에게 시술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먼저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