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걸 파는 건 죄악"…이탈리아 분노한 '벨기에 제품' 뭐길래

1 hour ago 1

벨기에 회사인 델하이즈가 만든 카르보나라 소스 / 사진 = 델하이즈

벨기에 회사인 델하이즈가 만든 카르보나라 소스 / 사진 = 델하이즈

이탈리아가 '가짜 까르보나라' 소스 제품 출시에 격분하며 유럽 슈퍼마켓에서 이 제품을 두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20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논란은 벨기에 식품 생산 업체인 데하이즈(Delhaize)가 출시한 까르보나라 소스 병 제품이 이탈리아 전통 식품 보호를 촉구하는 기관인 유럽 의회 내 상점에 등장하면서 시작됐다.

이탈리아는 전통적으로 파스타, 관찰레(돼지 볼살), 페코리노(양젖 치즈)를 달걀노른자, 후추와 섞어 만드는 까르보나라 제조에 매우 엄격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새로 출시된 제품은 관찰레를 훈제 판체타(이탈리아식 베이컨)로 대체했다. 이탈리아 요리의 성서로 불리는 '라 쿠치나 이탈리아나(La Cucina Italiana)' 잡지에 따르면 판체타 사용은 용납될 수 없다.

이탈리아 농업부 장관 프란체스코 롤로브리지다는 이 같은 사건에 즉각적인 조사를 촉구했다. 비록 이 소스가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졌다고 주장하지는 않지만, 비판자들은 이 소스가 정통 레시피에 '대죄'를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롤로브리지다 장관은 페이스북을 통해 이 사건에 격분하며 "까르보나라에 판체타를 넣는 것은 차지하고라도, 이 제품은 이탈리안 사운딩(Italian-sounding) 제품 중 최악"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럽 슈퍼마켓 선반에서 이를 보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즉각적인 조사를 요청했다.

이탈리아 최대 농업 단체인 콜디레티(Coldiretti)는 이러한 가짜 이탈리아 제품 생산으로 인해 이탈리아가 매년 1200억유로(약 204조원)의 손실을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탈리아 국기 색깔 사용, 가짜 이탈리아어 제품명, 이탈리아 기념물 사진 사용 등 기만적인 표현들이 EU 규정상 규제 문제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논란이 된 벨기에 소스 제조사는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나, 유럽 의회는 해당 제품을 매장 선반에서 철수시켰다.

까르보나라를 둘러싼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작년에는 하인즈가 관찰레 대신 판체타를 사용한 통조림 버전의 '스파게티 까르보나라'를 출시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일부 이탈리아인들은 요리의 정통성도 시대에 따라 진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2023년에 역사학자 알베르토 그란디는 까르보나라와 피자가 이탈리아산이 아닌 미국 발명품이라는 주장을 담은 저서를 출간하여 공분을 샀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