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다 내면 문 닫아야”…자체배상 노력 은행권에 ELS 과징금 줄여준다

21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융 당국이 홍콩 H지수 ELS 사태와 관련해 과징금 기준을 완화하기로 결정하며 은행권의 배상 노력을 감안해 제재를 경감할 예정임을 밝혔다.

현재 ELS로 인해 주요 은행들이 부과받을 수 있는 과징금은 최대 7조~8조원에 달하며, 이는 판매 금액의 50%에 이르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자율 배상 노력을 통해 과징금이 30~70%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재무 압박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 경감 기준 마련

시행령·감독규정 개정 추진
업계 자율 배상노력 감안키로
최대 7조원대 제재 대폭 줄듯

홍콩증권거래소 앞 광장 [EPA = 연합뉴스]

홍콩증권거래소 앞 광장 [EPA = 연합뉴스]

금융 당국이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사태와 관련해 과징금 기준을 완화하기로 했다. 은행권에선 최대 7조~8조원의 거액의 과징금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큰데 자체 배상 노력 등을 감안해 제재를 경감해주겠다는 것이다.

19일 관가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17일 정례회의에서 금융소비자보호법상 과징금 세부 산정 기준을 마련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는 과징금 부과에 대한 기준이 미흡한데 이를 구체화하기로 한 것이다.

당국은 금소법 시행령과 감독 규정을 고쳐 은행권이 적극적으로 자율 배상에 나서는 노력을 기울이면 과징금을 깎아주는 내용을 추진하기로 했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당국은 금융사가 위법 행위로 얻은 수입(판매금액)의 50% 이내에서 과징금을 매길 수 있다.

문제는 판매금액의 50%까지 과징금을 매기면 은행권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진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주요 시중은행에서 판매된 ELS 잔액은 15조원대다. 지난해 말 기준 ELS 손실 확정 계좌는 17만건으로 원금 10조4000억원 중 4조6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사진설명

KB국민은행이 8조2000억원으로 판매액이 가장 많고, 신한은행(2조4000억원), NH농협은행(2조2000억원), 하나은행(2조원), 우리은행(400억원)이 뒤를 잇는다. KB국민은행만 최대 4조원, 은행권 전체로는 7조원대 거액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는 것이다.

ELS는 일정 수준 이하로 주가가 내려가면 손실이 발생하는 파생 상품으로 2023년 말 홍콩 증시가 급락하면서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다. 은행권에선 2020년부터 이 상품을 집중적으로 판매했는데 구조를 제대로 설명해주지 않으며 불완전판매 논란이 커졌다.

이후 은행권은 자율적으로 배상 노력을 기울였다. 배상 금액은 국민은행이 6959억원으로 가장 많다. 신한은행(1865억원), 농협은행(2527억원), 하나은행(1093억원)도 1000억원대 배상금을 지급했다.

업계에선 감경 사유가 적용되면 과징금이 30~70%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갈수록 상생 금융 압박이 커지는 상황에 조단위 과징금까지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며 “자체 배상 노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면 재무 압박이 상당 부분 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