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경철 학회장 "스마트폰 사용으로 건성안 늘어…디지털 눈 피로, 경각심 가져야"

5 hours ago 1

윤경철 한국건성안학회장이 전남대병원 안과 진료실에서 안구건조증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전남대병원 제공

윤경철 한국건성안학회장이 전남대병원 안과 진료실에서 안구건조증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전남대병원 제공

“과거엔 나이가 들면서 눈물이 부족해져 건성안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았지만 최근엔 젊은 건성안 환자가 많습니다. 스마트폰 사용 등으로 인한 ‘디지털 눈 피로’에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죠.”

윤경철 한국건성안학회장은 최근 기자를 만나 이렇게 말했다. 윤 회장은 2008년 국내 첫 건성안 연구 동물실험실을 여는 등 건성안 질환 연구 분야 권위자다. 한국콘택트렌즈학회장, 대한안과학회 학술위원장 등을 지냈다. 전남대병원 안과 교수로 근무하며 진료부원장을 맡고 있는 그는 지난해 7월 한국건성안학회장으로 취임했다. 안구건조증 등 눈물질환을 연구하는 학술단체다.

국내 성인 다섯 명 중 한 명은 건성안을 앓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의료 현장에선 실제 환자가 이보다 많을 것이라고 평가한다. 윤 회장을 통해 건성안 질환 연구 현황과 예방법 등에 관해 들어봤다.

▷건성안은 질환이라는 인식이 높지 않다.

“건성안은 눈 표면에 있는 각막 세포가 손상되고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건성안이 있으면 시야가 흐려지는 등 시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빛에 예민하게 반응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고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

▷젊은 환자도 늘고 있다.

“젊은 층은 VDT 증후군 때문에 다른 연령대보다 눈물막이 깨지는 증상을 많이 호소한다. 전자기기 등을 많이 시청해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고 가까운 거리에서 영상기기 등을 봐 눈물막이 파괴되는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최근엔 청색광에 대한 경각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눈 건강에 영향을 주는 ‘자외선’ 연구가 주로 이뤄졌다. 자외선에 의한 각막 손상, 백내장, 황반변성 등이다. 최근엔 청색광 연구가 늘어 각막 손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헌이 증가하고 있다. 청색광에 오래 노출되면 각막세포에 산화스트레스성 손상을 준다. 눈 표면 염증 등 다양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대표적인 게 안구건조증 등 건성안이다.”

▷눈 주변 피부에도 영향을 준다.

“눈꺼풀 등 눈 주위 피부는 인체에서 가장 얇다. 청색광에 노출돼 산화스트레스성 손상이 쌓이면 이론적으로 눈 주위 피부 세포의 DNA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콜라겐 합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다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진 않았다.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분야다.”

▷2000년대 중반부터 건성안 연구를 해왔다.

“2000년대 중반 일본 게이오대와 미국 베일러대 연수를 다녀왔다. 당시 건성안이 단순한 눈물 분비 부족이 아니라 대뇌피질과 눈물샘, 눈 표면이 연결된 회로 이상이라는 연구를 확인했다. 이후 국내에서도 건성안 연구가 늘어야 한다고 판단해 동물실험실을 열었다. 미국과 한국 제약사에 신약 기술을 이전하는 등 성과도 있었다.”

▷아이들도 스마트폰을 많이 쓰는 추세다.

“아이들도 스마트폰을 보는 등 근거리 작업이 늘어 근시와 조절장애가 증가하고 있다. 성장기 아이들은 청색광에 더욱 취약하다. 동물실험 등을 통해 다양한 가설은 나와 있는 단계다.”

▷예방을 위해 생활 습관 교정이 중요하다.

“전자기기 등의 노출 빈도를 줄이고 장시간 사용하면 휴식해야 한다. 1시간 정도 전자기기를 쓰면 10분 정도 휴식하는 게 필요하다. 조도도 눈 건강에 영향을 준다. 어두운 곳에서 전자기기 등에 노출되는 것은 삼가야 한다. 거리도 중요하다. 최소한 30㎝ 정도는 떨어뜨리고 사용해야 한다.”

▷연구해야 할 주제가 많다.

“최근 세계눈물막학회에서 ‘디지털 눈피로’라는 명칭을 정하고 체계적 치료법을 제시했다. 눈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는 게 첫 번째다. 온찜질, 가습기 사용 등이 도움이 된다. 두 번째는 눈물 분비를 촉진하는 인공누액 등 보조제를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항산화제 등 영양보조제를 복용하는 것이다. 물론 이런 치료법에 대해서도 아직 논쟁이 있다. 다만 이런 치료를 하면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쌓이고 있다.”

▷건성안학회장으로 어떤 업무에 집중할 계획인가.

“국제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내 건성안 관련 연구는 이미 세계적 수준이다. 학회가 아시아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중심에 설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올해 아시아건성안학회가 제주도에서 열린다. 건성안 질환 치료 연구는 물론 의료산업 발전에도 공헌할 수 있도록 학회를 이끄는 게 목표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