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라면 누구나 응모할 수 있는 자리”
지역분원 4개소 건립, 국악연구실 확대, 국악연구소·국악기박물관 독립기관화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경기 가평 캐나다전투기념비에서 열린 뮤지컬 ‘링크’ 제작발표회 이후 오찬에서 “요즘 시대에 국악인만 응모한다는 것이 맞지 않기에 전문가라면 누구나 응모하도록 고쳤는데 특정 공무원을 앉히려 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쉽다”고 말했다.
유인촌 장관은 “인사혁신처가 공모를 진행해 검증까지 마친 다음에 문체부에 통보하기 때문에 관여가 불가능한 구조”라며 “언론 보도를 통해 알았지만 해당 공무원은 공직생활 30년 경력 대부분을 예술국에서 근무했기에 전문가가 아니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1951년 설립한 국립국악원은 20대 김영운 국악원장까지 총 18명이 국악원장을 역임했다. 역대 국악원장을 출신대학·학과별로 구분하면 서울대 국악과 12명,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 3명, 비국악인(행정직) 3명으로 나뉜다. 특히 서울대 국악과라는 특정대학·전공 쏠림은 늘 구설을 낳아왔다.반면에 비국악인 출신 국립국악원장 3명은 모두 문체부 출신이다. 이들이 국악인은 아니지만 △국립국악원 독립청사 및 국악전용극장 건립(5대 천영조) △해방 이후 최초 국악의해 행사 마련(8대 김광락) △국악박물관 개관 및 교육연구동 준공(9대 이웅호) 등 국립국악원의 외연을 넓히는데 크게 기여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국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해 이견을 좁혀가겠다고도 밝혔다. 그는 “24일 국립국악원 전체 직원과의 간담회를 비롯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만들겠다”고도 말했다.
문체부는 내정설 논란과 무관하게 △국립국악원 지역 분원 확대(서산·강릉·경북·충북) △국악연구실 확대 개편 △국립국악연구소·국립국악기박물관의 독립기관화 등을 추진해 국악계의 외연을 넓히겠다고 설명했다.(가평=뉴스1)-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