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테흐스 유엔총장 “한국의 대북정책 현명…‘END 구상’ 공감”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대북 문제와 관련해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를 골자로 하는 이른바 ‘END 구상’을 밝힌 이재명 대통령은 연설 직후 안토니우구테흐스 사무총장을 만나 대북 정책 논의애 나섰다.
23일(현지시간) 유엔본부에서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접견한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는 국제사회의 평화·안보와도 연계돼 있다”며 “(남북이) 갈등과 대립을 넘어 대화와 협력의 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유엔이 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대통령실은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해 “현명한 접근”이라며 “유엔도 적극적으로 지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특히 “이 대통령의 ‘END 이니셔티브’에 공감하며, END 이니셔티브가 한반도 안정과 평화에 기여하기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브리핑을 통해 전달했다.
이 대통령은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추진하는 유엔 개혁에 지지를 표하고 유엔이 효율적인 기구로 발전하도록 한국도 역할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오늘 기조연설에서 밝힌 바와 같이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하는 나라로 발전한 한국이 앞으로 국제사회에서 큰 역할을 하겠다”며 “역량 있는 한국 인재들의 국제기구 진출이 더욱 확대되도록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우즈벡 대통령과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논의
체코 정상과는 두코바니 원전 최종 계약 이행방안 논의도
이어 이 대통령은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만나 내년 한국에서 개최를 추진 중인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되도록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양국이 철도, 공항, 도로를 포함한 교통·인프라를 비롯해 핵심광물 등 공급망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며 “우즈베키스탄 내 17만여 명의 고려인이 정·재계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양국 관계발전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한편 페트르 파벨 체코 대통령과의 회담 자리에서는 원전을 포함한 여러 영역의 협력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파벨 대통령이 지난 6월 한국수력원자력이 수주한 두코바니 원전 최종계약 체결과 관련해 “한국 기업의 우수한 능력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이라고 하자 이 대통령은 “양국의 협력이 원전을 넘어서 반도체, 전기차, 방산 등으로 확대되어 호혜적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아울러 양 정상은 두코바니 원전 최종 계약의 이행 방안도 논의했다고 위 실장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