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 입학 합격선이 떨어지는 동시에 현직 교사들의 교단 이탈 움직임이 가속화하면서 미래 교육 현장의 질적 저하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27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서울교대와 춘천교대 등 5개 교대의 2025학년도 평균 합격선은 3.61등급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학년도 2.74등급, 2024학년도 3.22등급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한 수치다.
특히 춘천교대의 경우 수시 일반전형 등록자 최저 기준 2025학년도 6.15등급으로 전년도(4.73등급)보다 낮아졌다. 국가보훈대상자전형 등록자 중에서는 최저 기준이 7등급대인 합격자도 나왔다.
청주교대 역시 합격선이 전년 3.22등급에서 3.61등급으로 하락했다. 학생부종합(지역인재전형)은 같은 기간 3.08등급에서 4.07등급으로 낮아졌다. 광주교대의 전남교육감 추천전형 역시 3.15등급에서 4.27등급으로 크게 하락했다.
정시전형에서도 비슷한 추세가 나타났다. 광주교대는 국·수·탐 백분위 기준으로 4등급 구간에 해당하는 68.33점이 합격선이었다. 춘천교대 정시전형 평균 합격선은 3.82등급이다.
주목할 점은 5개 교대가 모두 선발인원을 전년보다 10.3% 줄였음에도 합격선이 오히려 하락했다는 사실이다. 선발인원은 1402명에서 1258명으로 144명 감소했다. 신입생을 충원하지 못한 교대도 늘고 있다. 미충원 인원은 전국 10개 교대에서 2020학년도 8명이었지만 2024학년도에는 23명으로 증가했다.
교직 현장에서는 교직을 떠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다. 서울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원종단연구'에 따르면, 초등교사 42.5%가 기회가 된다면 이직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경력별로는 4년 차(58.0%), 8년 차(62.0%), 13년 차(60.8%) 교사들의 이직 의향이 두드러졌다.
교사들이 교단을 떠나려는 주된 이유는 과중한 업무와 낮은 처우로 나타났다. 초등교사들은 학부모 상담(4.25점)과 행정 업무(3.86점)에 대한 부담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