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강남 신규공급 없인 집값 못 잡아…보완책 낼 것"

7 hours ago 1

입력2025.09.09 16:44 수정2025.09.09 16:44

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 오전 서울 마지막 판자촌인 노원구 백사마을 철거 현장을 찾아 재개발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오세훈 서울시장이 9일 오전 서울 마지막 판자촌인 노원구 백사마을 철거 현장을 찾아 재개발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 사진=뉴스1

2030년까지 수도권에 총 135만가구 규모의 새 주택 착공을 추진한다는 9·7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은 "집값 급등의 진원지인 강남 지역에 신규 공급 물량을 획기적으로 늘린다는 조치가 없으면 사실 주택시장은 크게 안정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9일 오전 노원구 백사마을 재개발사업 현장 방문 후 취재진과 만나 "서울시 차원에서 보완해 발표할 준비를 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정부의 부동산 공급 대책에 대해 "가장 부동산 가격 상승을 견인하는 곳은 서울인데, 서울에 그렇게 큰 변화가 있는 조치가 이번에 발표된 것 같지는 않다"고 꼬집었다.

이어 "사실 서울시민뿐 아니라 전 국민이 관심을 갖는 것은 서울시 혹은 국토교통부가 어떻게 서울에, 특히 강남 지역에 신규 주택을 많이 빨리 공급할 것이냐일 것"이라며 "지금까지 해온 작업을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로드맵을 설명해 드려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데 최대한 억제책이 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했다.

오 시장은 대책 발표 전에 국토부와 서울시 간 소통이 없었고 엇박자가 났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선 "물론 전 정권처럼 적극적인 의견 교환이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실무적 차원에서 의견을 구하는 등 소통은 분명히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7일 2030년까지 수도권에서 매년 신규 주택 27만가구를 착공해 총 135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기존 50%에서 40%로 강화하고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권을 확대하는 내용도 대책에 포함됐다.

그러나 공급 물량의 상당 부분이 비강남권과 수도권 외곽 도심 등 비선호 지역에 자리 잡고 있어 집값 상승세를 잡기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이슬기 한경닷컴 기자 seulke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