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금리 ‘찔끔’ 대출금리 ‘쑥’…은행에 돈줄 취급 당하는서민들

7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은행들이 대출금리보다 예금금리를 더 많이 낮추면서 예대금리차가 22개월 만에 최대 수준인 1.52%포인트로 확대됐다.

세간의 우려 속에 주요 시중은행들은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가계대출을 억제하려는 압박에도 불구하고 예대금리차가 증가하는 상황이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대출 구조 변화로 전체 대출금리의 하락 폭이 제한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 = 뉴스1]

[사진 = 뉴스1]

은행들이 대출금리보다 예금금리를 더 많이 낮추면서 지난 3월 예대금리차가 22개월 만에 최대 수준까지 확대됐다. 은행권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모두 하락했지만 예금금리 하락폭이 더 컸다. 은행이 예금을 통해 지급하는 이자율보다 대출을 내줄 때 받는 이자율이 그만큼 더 높다는 뜻이다. 서민들 이자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예금은행의 신규 취급액 기준 수신금리는 전월 대비 0.13%포인트, 대출금리는 0.1%포인트 떨어졌다. 수신금리가 대출금리보다 더 많이 내린 것이다. 이에 따라 예대금리차는 전월보다 0.03%포인트 확대된 1.52%포인트로 벌어져 7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금리차는 2023년 5월(1.56%포인트)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신규 취급 기준이 아닌 잔액 기준 예대금리차 역시 2.24%포인트로 0.01%포인트 커졌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일반 신용대출의 비중이 커지고 금리가 낮은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줄면서 전체 대출금리의 하락폭이 제한됐다”고 분석했다.

사진설명

주요 시중은행들 예대금리차도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3월 기준 신한은행 예대금리차는 1.53%포인트로 전월보다 0.08%포인트 올랐고, KB국민은행(1.42%포인트)은 0.09%포인트, NH농협은행(1.54%포인트)은 0.09%포인트 상승했다.

예대금리차로 인한 마진이 커지면서 은행들은 올해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이어갔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그룹은 올해 1분기 4조928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6% 넘게 증가한 수치다.

금융권에서는 가계대출 증가세를 억제하려는 당국의 압박에 주요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올리면서 거꾸로 예대금리차가 확대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