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최근 굴착공사장 인근에서 연이어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하는 것과 관련해 정부가 4월 말부터 5월까지 대형 굴착공사장 특별대점검을 실시한다.
![]() |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5-2 공사 2공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뉴시스) |
국토교통부는 16일 “행정안전부, 지자체, 한국지반공학회 등이 참석하는 8차 TF 회의를 개최해 지자체의 지하안전관리 실적을 점검하고, 대규모 굴착공사장 지반침하 사고 대응 계획 등을 공유해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지하안전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9월부터 관계기관 합동 지하안전관리체계 개선 전담조직(TF)을 구성·운영 중이며, 굴착공사장 특별점검(24년10월~12월), 제2차 국가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25년~29년) 수립 등을 통해 지반침하 사고 예방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작년 10월~12월 사이에는 전국 대형 굴착공사장 94개소에 대해 공사현장점검(지방국토관리청)과 인근 도로에 대한 GPR 지반탐사(국토안전관리원), 노후하수관로 CCTV 조사(한국환경공단) 등을 실시했다.
또한 지방국토관리청에서 미흡한 시공관리·계측관리 등 209건을 지적해 시정을 완료하기도 했다.
GPR 지반탐사를 통해 발견 된 공동 68개와 CCTV 조사를 통해 발견한 보수 필요 노후하수관로 12개소는 지자체에 통보해 복구토록 조치했다.
국토부는 “기본계획에 따라 고위험구간에 대한 지반탐사 시행주기는 당초 5년에 1회에서 1년에 2회로 강화 추진 중이고, 탐사연장도 2024년 2300km에서 2025년에는 3200km, 2026년에는 4200km까지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며 “아울러 굴착공사의 지하안전평가 및 착공후지하안전조사, 노후하수관로 등 지하시설물의 지반탐사 주기 등 전반적인 지하안전관리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용역도 진행 중에 있고, 지반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AI기반 공동 분석모델 등의 기술개발을 통해 대형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