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인파' 몰릴 신라 금관 전시...관람 '꿀팁'은

22 hours ago 2

전시장 전경. 최혁 기자

전시장 전경. 최혁 기자

27일 찾은 경주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역사관 3실은 1500년 전 신라 금관들이 뿜어내는 황금빛으로 눈부셨다. 신라 금관 6점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역사상 처음이다. 김대환 경주박물관 학예사는 “100년에 한 번 있을, 오랫동안 학예사들이 꿈꿔온 전시”라고 말했다.

경주박물관은 이날 ‘신라 금관: 권력과 위신’ 특별전의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번에 공개된 금관과 금귀걸이, 금팔찌, 금반지 등 황금 유물은 총 20점. 이 중 국보 7점과 보물 7점을 포함해 14점이 국가 지정문화재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맞아 방한한 각국 정상에게 선보일, 한국 문화의 화려한 ‘얼굴’인 셈이다. ▶2025년 10월 24일자 A17,18면 참조

전시는 다음 달 2일부터 일반 관객들에게 공개한다. 폐막일은 12월 14일로, 기간은 총 6주간 진행된다. 박물관 관계자는 “각 금관이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 등 각 박물관을 대표하는 유물인 만큼 자리를 오래 비워두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전시 기간이 길지 않은 만큼 관람 경쟁은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금관 전시가 열리고 있는 신라역사관 3실의 동시 수용 가능 인원은 최대 200명으로, 전시 관람을 위해 줄서기는 불가피하다.

대기 시간을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오픈런’이다. 경주박물관 정문은 오전 9시 30분, 전시가 열리는 건물인 신라역사관은 오전 10시에 문을 연다. 박물관 측은 신라역사관 앞에 두 종류의 줄을 세울 계획이다. 하나는 금관 전시실인 3실만 볼 수 있는 줄, 또 하나는 나머지 1·2·4실을 관람하는 줄이다. 금관 전시를 먼저 본 뒤, 신라역사관을 돌면 된다.

황남대총 북분 금관이 전시된 모습. 최혁 기자

황남대총 북분 금관이 전시된 모습. 최혁 기자

오랜 기다림 끝에 입장에 성공했다면 신라 금속 공예의 아름다움을 찬찬히 만끽해보자. 금제 허리띠와 장신구 등을 통해 장신구를 실제로 착용했던 신라 사람의 모습을 상상하고, 스크린을 조작해 각 왕관의 금 함량 등 다양한 정보를 알아볼 수도 있다. 마치 금관을 쓴 것처럼 연출한 ‘인증샷’을 남기려면 성인은 황남대총 북분 금관 뒤에, 어린이는 교동 금관 뒤에 서면 된다. 윤상덕 경주박물관장은 “두 금관의 전시 높이를 관객의 키에 맞췄다”고 설명했다.

다른 전시관에도 볼거리가 넘쳐난다. 신라미술관에는 백률사 약사불, 남산 장창곡 미륵삼존 등 한반도 불교미술의 정수가 있다. 박물관 안 도서관인 신라천년서고에서 서적을 들춰 보며 ‘힐링’할 수 있고, ‘보이는 수장고’에서는 큐레이터가 된 기분을 느끼며 유물들 사이를 거닐 수도 있다. 에밀레종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성덕대왕신종도 박물관 경내에 있다. 매시 정각, 20분, 40분에는 녹음된 종소리가 울려 퍼진다.

월지관에 새로 마련된 휴식 공간. 성수영 기자

월지관에 새로 마련된 휴식 공간. 성수영 기자

지난 17일 리모델링을 마친 월지관도 반드시 방문해야 할 곳이다. 신라 왕실의 인공 연못 월지(안압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모아놓은 곳이다. 단일 유적을 주제로 한 국내 전시관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영상 자료와 조명시설 등을 대폭 개선해 유물의 용도와 아름다움에 훨씬 더 몰입할 수 있게 됐고, 계단을 확 줄이는 등 내부 구조도 관람친화적으로 바꿨다. 건물 중간에 마련된 휴식 공간에서는 박물관 경내와 나무, 월정교 등이 어우러진 최고의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경주=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