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철새’ 두견이 겨울엔 어디까지 가나…아프리카까지 2.7만km이동경로 확인

1 day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 여름 철새 두견이가 제주도를 떠나 아프리카 모잠비크까지 이동하고 다시 돌아오는 2만7340㎞의 경로를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고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24일 밝혔다.

두견이는 지난해 5월 제주도에서 발견된 후 위치추적 발신기를 달고 8월에 떠나 중국, 인도, 스리랑카를 거쳐 아프리카에 도달했으며, 올해 4월에는 다시 제주도로 돌아왔다.

이 연구는 철새 보전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여러 나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한국 철새 ‘두견이’… 왕복 2만7340㎞ 이동경로 첫 확인

위치추적 발신기를 부착한 여름 철새 두견이. 제주에서 출발한 두견이는 아프리카 모잠비크까지 이동해 겨울을 보낸 뒤, 이듬해 다시 국내로 돌아오는 경로가 세계 최초로 확인됐다. [사진 제공 = 국립생물자원관]

위치추적 발신기를 부착한 여름 철새 두견이. 제주에서 출발한 두견이는 아프리카 모잠비크까지 이동해 겨울을 보낸 뒤, 이듬해 다시 국내로 돌아오는 경로가 세계 최초로 확인됐다. [사진 제공 = 국립생물자원관]

한국 여름 철새 두견이가 제주도를 떠나 아프리카 모잠비크까지 이동해 겨울을 보낸 후 한국으로 되돌아오는 2만7340㎞의 이동 경로를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고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24일 밝혔다.

지난해 5월 제주도에서 발견된 여름 철새 두견이는 위치추적 발신기를 달고 그해 8월 제주도를 떠났다. 이후 중국과 인도, 스리랑카를 거쳐 12월 초 아라비아해와 인도양을 건넜다. 그리고 지난해 말 아프리카 대륙 모잠비크에 도착해 겨울을 보낸 후 올해 4월 동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해 작년 경로의 반대 방향으로 날아 6월 초 다시 제주도로 돌아왔다.

두견이 이동 경로. [사진 제공 = 국립생물자원관]

두견이 이동 경로. [사진 제공 = 국립생물자원관]

특히 두견이가 올봄 아프리카 동쪽으로 이동하며 아라비아해와 인도양을 건널 때는 약 4180㎞ 거리를 6일 동안 쉼 없이 횡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 알려진 산새 중 가장 먼 거리의 바다를 이동했다. 여름 철새의 번식지로의 귀소성이 확인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두견이는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종이다. 다른 종의 둥지에 알을 낳아 새끼를 기르는 ‘탁란’ 방식으로 번식하는 종이다. 5월부터 전국에서 관찰된다.

생물자원관은 2010년부터 철새의 이동 경로를 밝히기 위해 매년 철새 이동 생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지난해 5월 두견이 두 마리에 위치추적 발신기를 부착하고 이동 경로를 추적했다.

철새의 이동 경로는 철새 보전을 위해 중요한 연구로 꼽힌다. 여러 나라 국경을 거쳐 장거리 이동을 하는 철새들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모든 국가에서 보호가 이뤄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