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경기 파주시 문산읍에서 만난 농민 김명하 씨(64)는 분무기로 하수구와 물웅덩이에 살충제를 뿌리며 이렇게 말했다. 파주시는 하루평균 말라리아 매개 모기 개체 수가 정부 기준을 넘어 지난달 20일 말라리아 주의보가 발령됐다. 김 씨는 “밭에 작업을 나갈 때는 반드시 긴 옷을 입고, 온몸에 모기 기피제를 뿌린다”고 말했다.
경기 파주시 문산읍의 한 마을에서 김명하 씨(64), 이해경 씨(62) 부부가 분무기를 이용해 물웅덩이와 하수구 등에 모기 방제약을 뿌리고 있다. 파주=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최근 수도권에서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가 대량 발생한 가운데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얼룩날개모기도 늘어나면서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1년 294명이었던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2022년 420명, 2023년 747명, 지난해 713명 등으로 늘어났다. 올해는 6월 말까지 총 201명이 말라리아에 감염됐다. 통상 7~9월에 본격 유행하는 것을 감안하면 연내 환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최근 말라리아 환자는 북한 접경지뿐 아니라 서울·인천 등 수도권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올해 들어 이달 5일까지 서울에서는 26명, 인천에서는 39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질병청은 서울 13개구, 인천 10개구를 ‘말라리아 위험 지역’으로 선정했다. 방제 환경이 열악한 북한에서 말라리아 감염 모기가 넘어와 수도권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북한으로부터 감염 모기가 넘어올 가능성이 높은 휴전선 인근 일부 지역과 최근 3년간 말라리아 환자가 보고된 적 있는 지역이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선정된다.
경기 파주시 문산읍 한 마을에 거주하는 김명하 씨(64)가 밭을 가꾸기 전 온몸에 모기 방제 스프레이를 뿌리고 있다. 파주=장승윤 기자 tomato99@donga.com
전문가들은 남북 협력 방역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질병청이 2030년 국내 말라리아 퇴치를 목표로 모기 감시를 강화하고 세계보건기구(WHO)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말라리아에 대한 남북 공동방역이 실시됐던 2008년에서 2011년에는 말라리아 환자 수가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남북 관계가 경색돼 사업이 중단된 2012년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야외 활동 시 개인 방역을 당부했다. 이동규 고신대 보건환경학과 교수는 “짧은 옷뿐만 아니라 몸에 달라붙는 옷도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몸에 달라붙는 옷은 2.5mm 정도 길이의 모기침에 의해 뚫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여름철 야외활동을 하고 싶다면 방충망이 달린 텐트 등을 활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양영철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겸임교수는 “말라리아 매개 모기는 최종 숙주인 사람 특유의 냄새를 좋아한다. 모기 기피제가 이 냄새를 교란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