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이 외부 결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앱에 대해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도입
- 이 경고는 앱의 이름, 아이콘 위에 빨간색 ⚠️ 아이콘과 함께 최대 다섯 줄로 표시됨
- EU에서는 미국과 달리 IAP 없이 외부 결제만으로 운영 가능함
- 외부 결제가 오히려 카드 환불 등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안전하다는 의견 존재
- 개발자들은 애플의 정책이 시장과 창작자 모두에 불리하다는 불만을 표출함
개요
- 최근 애플이 앱스토어에서 외부 결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앱에 대해 강한 경고를 표시하기 시작함
- 해당 경고는 "이 앱은 앱스토어의 사적이고 안전한 결제 시스템을 지원하지 않고, 외부 결제를 사용함"이라는 메시지로 드러남
- 경고 문구는 앱의 이름과 아이콘 윗부분에 다섯 줄에 걸쳐 눈에 띄게 배치됨
앱스토어 경고의 세부 사항
- 일부 사용자와 개발자가 애플의 경고 메시지와 실제 화면을 공유하며 논란이 커짐
- 앱스토어에서 외부 결제를 사용하는 경우, GET 버튼 옆에도 '외부 결제' 로 표시가 추가됨
- 미국에서는 외부 결제 기능이 반드시 앱 내 결제(IAP) 버전과 함께 제공되어야 하지만, EU에서는 그런 요구가 없음
- 이로 인해 유럽 내 앱들은 IAP 없이 외부 결제만으로 운영 가능함
경고문 수준 비교
- macOS의 알림 수준은 총 세 단계로 분류됨:
-
알림(informational) : 일반적인 소식·준비 알림
-
경고(warning) : 더 심각한 상황에 대한 안내
-
치명적(critical, 주의 삼각형 아이콘) : 데이터 손실 등 위험에 진짜 주의가 필요한 경우 사용
- 외부 결제 앱에 대해 애플이 실제로 어떤 아이콘(치명적 등)을 사용하는지 지적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심리적 압박을 줄 수 있음
경고의 실제 효과와 규제 배경
- 실제로 이 경고를 몇 명의 사용자가 보게 될지는 불확실함
- 앱을 이미 구매한 이용자는, 앱이 외부 결제를 추가해도 굳이 다시 앱스토어를 방문할 필요가 없기 때문임
-
DMA(디지털시장법) 등 규제는 결제 시점에 심각한 공포 유발 화면(Scare Screen)을 금지함
- 이에 애플의 경고 방식이 규제에 저촉될 위험이 언급됨
신뢰성, 소비자 보호, 실질적 논점
- 과거에는 소프트웨어가 물리적 매체로 판매됐던 시기가 있었으나, 온라인 결제가 일반화된 현재에는 거의 모든 온라인 결제 방식이 사적이고 안전하다는 현실이 강조됨
- 애플의 IAP 시스템이 여러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건 사실이나, 프라이버시와 보안 측면에서 더 이상 독보적인 제공점이 아님
- 실질적으로 외부 결제가 카드사 환불 등으로 오히려 소비자 보호에 더 유리할 수 있음
- 애플은 제품에 문제가 있어도 환불 처리가 매우 까다로움
- 직접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면 카드사 등 외부 채널로도 환불 가능함
- IAP로 결제하면 카드사 환불 시 애플 계정 전체가 정지될 위험 있음
개발자와 커뮤니티 반응
- 오랫동안 자체 웹사이트에서 판매해 온 개발자들은 앱스토어가 외부 결제의 신뢰성을 부정하는 접근에 반발함
- 앱스토어 등장 이전에도, 수많은 개발자들이 웹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판매를 성공적으로 운영했음
- 애플의 정책 변화와 제한, 그리고 시장에 대한 임의적 개입이 개발자들의 비즈니스 지속 가능성을 위협한다는 비판이 제기됨
- 일부 개발자는 애플의 대응을 수동적 공격성이라며 비꼬기도 함
- 애플 경영진에 대한 신뢰 하락, 규제 우회 전략, 제품 품질 저하에 대한 커뮤니티의 실망감 확산
추가 참고
- 논란에 대한 다양한 커뮤니티·언론 반응:
- Hacker News, Reddit, The Verge, MacRumors, 9to5Mac, The Mac Observer 등에서 활발히 논의됨
- EU, 외부 iOS 결제, 디자인 등 관련 태그와 카테고리에서 이슈가 확대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