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상속세 낮춰 민간 투자 유도…AI 고속도로 등에 수백조 투입" [영상]

2 days ago 3

“박정희 대통령이 경부고속도로로 산업화를 달성했듯 ‘AI(인공지능) 고속도로’로 새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21대 대선에서 국민의힘 대선 주자로 뛰어든 안철수 후보는 지난 1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대선의 화두는 ‘대한민국이 살아남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국민의힘 4선 의원(경기 분당갑)인 그는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의사 출신이자 1995년 안철수연구소(현 안랩)를 설립해 이끈 경영자 출신이다. 계엄 국면 찬탄(탄핵 찬성)파에 선 안 후보는 이번 대선에서 네 번째 대권 도전장을 냈다. 다음은 일문일답.


10대 공약 내놓은 安   국민의힘 대권 주자인 안철수 의원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대선 10대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뉴스1

10대 공약 내놓은 安 국민의힘 대권 주자인 안철수 의원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대선 10대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뉴스1

▷대선에 출마한 계기는.

“미국과 중국이 과학기술 경쟁을 벌이고 있고, 무역 전쟁으로 세계가 각자도생의 환경이 됐다. 이런 시기일수록 ‘우리가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수 있을까’에 관한 고민이 필요하다. 저는 AI 분야에 누구보다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기술 산업화에 나서 한국을 발전시킬 적임자다.”

▷한국 경제를 위한 구상은.

“신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필요하다. 박정희 대통령이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했듯 상징적으로 AI 고속도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AI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 콘텐츠 등 네 개 분야로 나눠 빠르게 발전시킬 수 있는 모델을 만들자는 것이다.”

▷AI 발전의 구체적 방안은.

“민간과 국가가 함께 투자해 최소 수백조원 규모 투자에 나서야 한다. 미국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다. 국가는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R&D)을 지원하고, 연구소와 데이터센터 설립과 같은 인프라 영역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 주 52시간제 특례를 담은 반도체특별법 제정도 필요하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개발은 시간을 정해 놓고 하는 게 아니다. 이걸 반대하는 더불어민주당을 보면 ‘개발이란 걸 해본 경험이 없구나’ 싶어 답답하다.”

▷경제 활성화를 위한 세제 정책 구상은.

“한국의 상속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해외로 국부가 유출되는 원인이다. ‘돈 많은 사람이 세금을 많이 내야지’ 하는 민주당식 사고방식은 틀렸다. 상속세를 OECD 평균 수준으로 인하해야 한다. 과도한 법인세 역시 낮추고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마련해야 한다.”

▷밸류업을 위해 할 일은.

“우리 경제가 역동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스라엘이 ‘스타트업 네이션’이라고 불리듯 우리도 ‘창업 국가’가 될 수 있게 뒷받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아이디어만 있으면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공정한 경쟁을 보장해 줘야 한다. 공정거래위원회의 불투명성을 줄이되 권한은 확대 개편할 생각이다.”

▷상대 유력 주자인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와의 차별성은.

“저는 중도 확장성이 큰 후보다. 그리고 도덕적인 후보다. 12개 혐의로 5개 재판을 받는 이 전 대표와 비교가 가능하겠나. AI와 의료 분야에 대한 전문성도 강점이다. 한국을 제대로 산업화할 수 있는 후보다.”

정상원/안시욱 기자 top1@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