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용면적 135㎡ 초과 아파트
작년 3월부터 13개월 연속 상승세
서울 대형아파트 가격이 1년 내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신규 아파트 분양이 전용면적 59~84㎡에 편중돼 공급은 부족한 반면 수요는 꾸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25일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규모별 매매가격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전용면적 135㎡ 초과 아파트 가격은 3월 대비 0.68% 올랐다. 이는 전체 면적대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같은 기간 초소형인 40㎡ 이하는 0.08% 하락했고 이를 포함한 60㎡ 이하는 0.22% 올랐다. 60㎡ 초과∼85㎡ 이하는 0.37%, 85㎡ 초과∼102㎡ 이하는 0.34%, 102㎡ 초과∼135㎡ 이하는 0.46% 각각 상승했다.
전국 기준으로도 같은 기간 135㎡ 초과(0.13%)와 102㎡ 초과∼135㎡ 이하(0.03%) 아파트만 올랐고 다른 면적대는 모두 하락했다. 수도권에서도 135㎡ 초과 아파트 상승률이 0.32%로 가장 높았다. 특히 서울의 135㎡ 초과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작년 3월부터 올 4월까지 13개월 연속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1년간 추이를 봐도 서울 135㎡ 초과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8.6% 올랐는데 흔히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84㎡ 이 포함된 60㎡ 초과∼85㎡ 이하 면적 상승률(6.9%)을 웃돌았다.
대형 면적의 신고가 경신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서울 강남구 압구정현대 7차 전용면적 245.2㎡가 130억5천만원에 거래됐고, 이달 7일에는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1차 244.66㎡가 82억원에 신고가를 썼다.
이같은 대형 아파트 강세는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 등을 중심으로 중대형 수요가 계속 존재함에도 공급이 달리는 상황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부동산 시장 분석업체 부동산R114가 2020년부터 올해 입주 예정분까지 포함해 서울 아파트 전용면적별 입주물량을 집계한 결과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아파트 입주물량은 전체의 9.6%에 불과했다.
또한 코로나 팬데믹을 계기로 집의 기능이 확장돼 큰 면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점, 다주택자를 옥죄는 부동산 세제를 고려해 똘똘한 대형아파트 한 채만 보유하겠다는 인식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