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모녀역의 아이유-문소리 인터뷰
아이유의 ‘기억에 남는 대사’는
‘지기 싫어하고 낙천적인 성격’… 애순은 나의 10대와 너무 닮아
뭉툭해진 ‘인생 연필’ 다시 깎아… 새로운 이야기 써내려 가고 싶어
지난달 28일 마지막 회가 공개된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딸 금명(아이유)은 부모에게 이 말을 자주 한다. 단순한 불평이 아니다. 애틋함과 미안함이 스민 말이다.
2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가수 겸 배우 아이유(본명 이지은·32)는 이 문장을 드라마에서 가장 인상 깊은 대사로 꼽으며 “하이퍼 리얼리즘”이라고 했다.
“진짜 사랑하고, 미안하고, 걱정돼서 나오는 말이에요. 그걸 다 말로 못 하니까 ‘짜증 나’라고 하게 되죠. 저도 실제로 부모님이 아픈데도 청소하고 밥까지 해두시면 ‘짜증 나’밖에 못 하겠더라고요. 하하.”아이유는 10대의 반짝이는 눈빛을 가진 ‘애순’부터 자신의 감정을 꾹 눌러 담는 어른 ‘금명’까지, 1인 2역으로 모녀를 연기했다. 두 인물의 결이 다르기에 연기의 난도가 높았다. 그런 그가 자신과 닮았다고 꼽은 인물은 10대 애순이었다.
“제가 10대였을 때와 정말 많이 닮았어요. 지고 싶지 않아 하고, 뭐든 다 해보고 싶고, 화가 나면 그 감정을 그대로 표출하는 면이요. 그러면서도 회복도 빠르고, 낙천적인 성격이 저랑 많이 겹쳤어요.”
딸 ‘금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집중한 부분은 내레이션이었다고 한다. 금명의 시점에서 지난날을 돌아보는 형식의 내레이션은 작품 전체의 정서를 이끌고 간다.“인생을 어느 정도 살아본 금명이가 과거를 회고하는 구조예요. 어리게 들리지 않도록, 감정이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도록 계속 조율했어요. 녹음만 두 달 넘게 했습니다.”우리네 어머니들처럼 고생 가득한 애순의 삶엔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한 사람이 자기 인생을 시집 한 권처럼 써 내려간다고 생각했어요. 장마다 고통과 기쁨, 아쉬움과 희망이 담긴 시집이죠. 그 시집에 한 장도 허투루 쓰지 않았다면, 그 삶은 진짜 잘 산 거 아닐까요.”
스타 가수에서 연기력도 인정받는 배우로 자리 잡은 아이유. 자신의 20, 30대를 하나의 시집으로 묶는다면 어떤 제목이 어울릴까. 그는 망설임이 없었다.
“‘연필을 다시 깎겠습니다.’ 20대를 정말 치열하게 살았어요. 날카로운 연필심처럼 온 힘을 다해 쓰듯이요. 이제는 그 연필이 좀 뭉툭해졌다고 느껴졌어요. 다시 깎아서, 새로운 이야기를 써 내려가고 싶어요.”
아이유는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에 참석하는 팬들을 위해 음식값을 선결제했다가 ‘좌이유’(좌파+아이유)라는 비난을 받은 것을 두고 “그런 것도 감당해야 하는 부분 아닌가 싶다”고 했다.인터뷰 끝자락, 4계절로 구성된 작품에 비유해, ‘지금 자신은 어떤 계절일 것 같냐’는 질문을 던졌다. 앞서 상대역 관식을 연기한 박보검은 “봄”이라 답했다.
아이유는 “가을”이라고 했다.
“여름처럼 치열하게 살아온 시간이 있었고, 지금은 그 시간을 돌아보며 수확하고 있는 느낌이에요. 그런 의미에서 저는 지금, 가을 같아요.”
“‘손주도 내딸 진 빼면 밉지’라는 말은 제 엄마도 해요”
문소리의 ‘가장 마음에 남는 말’은
‘딸에 대한 노모의 사랑’ 묻어난 표현… 촬영하며 가족들이 자주 떠올라
금명이 엄마에 퉁명스럽게 말할땐… 내딸이면 얼마나 속상했을까 싶어
“암만 손주여도 내 딸 진을 너무 빼면 밉지.”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중년의 애순(문소리)이 딸 금명(아이유)의 딸에게 던지는 이 말은 단순한 투정이 아니다. 다투기도 하고 속상하기도 하지만, 누구보다 애지중지 키운 딸에 대한 깊은 사랑이 묻어난다.
배우 문소리(51)는 2일 서울 중구 한 호텔에서 만나 이 대사를 “가장 마음에 남는 말”로 꼽았다.
“저희 엄마도 제 딸에게 비슷한 말씀을 하셨어요. 손녀를 사랑하시면서도 ‘너희 엄마 너무 힘들게 하지 마라. 우리 딸 너무 힘들면 나도 속상하다’고요.”
문소리는 영화 ‘오아시스’(2002년), ‘바람난 가족’(2003년) 등에서 강렬한 인물들을 연기해 왔다. 반면 애순은 전을 부치고, 김밥을 싸며, 자식 뒷바라지에 속상해하는 ‘보통의 엄마’다. 하지만 문소리는 오히려 애순이 “어려운 캐릭터”였다고 했다.
“겉으로 보기엔 평범한 인물이에요. 하지만 그 안에 많은 시간이 있고, 감정이 있고, 사랑이 있어요. 그걸 억지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전달하는 게 쉽지 않았어요. 그냥 ‘엄마’로만 보이지 않도록 조심했어요.”
현장에서 문소리는 자주 자신의 가족을 떠올렸다고 한다. 특히 극 중 금명이 엄마에게 퉁명스러운 장면에선 자신의 삶과 맞물려 마음이 무거워지기도 했다고.
“미워하기보단 미안했어요. 우리 딸이 그런 상황이라면 얼마나 속상했을까 싶었죠. 그래서 늘 금명이가 짠하고 안쓰러웠어요.”
그가 본 애순은 어떤 사람일까. 문소리는 잠시 생각을 고른 뒤 답했다.
“애순이 남편을 떠나보낸 뒤 이렇게 말해요. ‘그런 복은 내리 안 와’, ‘수만 날이 봄이었더라’. 마치 꽃밭에서 살아온 사람처럼요. 누구나 인생엔 힘든 날이 있잖아요. 그런데 그 삶을 결국 봄날로 기억하고,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사람…. 참 대단하지 않나요?”
이호재 기자 hoho@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