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결제 278건, 억단위 피해 발생했는데”…통보받고도 나흘간 방치한 KT

3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달 말부터 서울 서남권에서 KT 이용자에 대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278건으로 집계되었으며, 피해 규모는 1억7000만원에 이른다.

이번 범죄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인 '펨토셀'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KT는 사건 발생 후 5일간 비정상 소액결제를 차단하지 않아서 피해 확대에 기여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한 조사도 병행하고 있으며, 피해자들의 신고가 이어지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KT 뒷북대응 논란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도 제기

연합뉴스

연합뉴스

지난달 말부터 서울 서남권 일대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한 KT 이용자 무단 소액결제 피해 건이 278건에 달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경찰 신고가 잇따랐지만, KT가 경찰의 연락을 받고도 나흘간 사건을 방치한 것으로 드러났다. 민관 합동 조사단은 이번 범죄에 불법 초소형 기지국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고 정밀조사에 나섰다.

1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T 이용자 통화기록를 분석한 결과 피해가 총 278건, 1억7000만원 규모라고 밝혔다.

민관이 합동으로 조사한 결과 이번 사건 피해 원인은 이른바 ‘펨토셀’이라고 불리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펨토셀은 가정 등에서 휴대전화가 잘 터지지 않는 음영 지역이 있을 때 사용하는 장비다. 하지만 불법 개조를 통해 휴대전화가 기지국으로 오인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휴대전화와 네트워크 간 데이터가 탈취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KT 외에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신규 초소형 기지국 접속을 전면 제한했다.

이번 소액결제 피해가 확산된 데에는 KT의 뒷북 대응도 한몫했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경기 광명경찰서에 첫 피해 사실이 접수된 이후 유사 사건 접수가 5일간 62차례 있었다. 이에 따라 경찰은 지난 1일 KT 본사 등에 공문을 보내 피해 사실을 알렸다. 하지만 KT는 사건이 보도를 통해 알려진 뒤 5일에서야 비정상 소액결제를 차단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해서도 조사에 나섰다. 개인정보보호위 관계자는 “피해자 침해 신고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사실 확인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