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고검, 김건희 ‘7초 매도’ 의혹 등 정조준… 중앙지검은 尹 ‘도이치 허위공표’ 수사 착수

8 hours ago 7

[김건희 의혹 수사]
검찰, 尹부부 수사 본격화
金의 ‘BP 패밀리’ 의혹도 다시 조사
尹, 대선 과정 “계좌 안맡겨” 발언… 내달 1일 고발인 불러 조사 예정

뉴시스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 수사를 재개하는 검찰이 이른바 ‘BP 패밀리 의혹’, ‘7초 매도 의혹’ 등 도이치모터스 사건의 주요 쟁점을 다시 들여다볼 예정이다. 검찰은 이와 함께 2022년 대선 과정에서 불거진 윤석열 전 대통령의 허위사실 공표 혐의 고발 사건 수사에도 착수하는 등 불소추 특권이 사라진 윤 전 대통령 부부를 향한 수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 ‘7초 매도’ 등 쟁점 재검토하는 檢

27일 법조계에 따르면 도이치모터스 사건 재수사를 맡은 서울고검 형사부(부장검사 차순길)는 우선 김 여사가 연관된 ‘7초 매도 의혹’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이 의혹은 2010년 11월 1일 도이치 주가조작 세력이 주식 매도 요청을 하자 김 여사의 대신증권 계좌에서 7초 만에 8만 주가 매도된 사건을 가리킨다. 김 여사는 지난해 7월 비공개 대면 조사에서 “당시 상황이 기억나지 않는다”며 “권오수 전 도이치모터스 회장과 통화하고 매매한 기억은 없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지난해 10월 김 여사에 대해 자본시장법 위반 및 방조 혐의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리며 “권 전 회장 등이 김 여사에게 연락해 매도 주문이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면서도 “해당 연락의 구체적인 내용, 당시 상황 및 김 여사의 인식 등을 확인할 증거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검찰은 윤 전 대통령이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 내려오면서 관계자 진술 번복 가능성이 생겼다고 보고, 권 전 회장 등을 다시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한 검찰은 ‘BP 패밀리 의혹’도 다시 들여다볼 계획이다. ‘BP’는 도이치 주가조작 사건에서 핵심 역할을 한 블랙펄인베스트의 약칭이다. 권 전 회장과 이종호 전 블랙펄 대표, 김 여사가 BP 패밀리로 묶였다는 진술이 있었다.

서울중앙지검은 김 여사가 BP 패밀리와 연관됐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고 결론 냈다. 하지만 주가조작 핵심 인물 김모 씨가 2021년 10월 도피 중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에 “김건희만 빠지고 우리만 달리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내용이 담기는 등 추가 규명이 필요한 점이 여전히 많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아울러 2010년 3월 김 여사가 도이치 주가조작 주포인 이모 씨로부터 받은 4700만 원의 성격에 대해서도 규명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돈이 김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투자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돼 있다. 검찰은 김 여사와 모친 최은순 씨가 도이치모터스 투자를 통해 각각 13억9000만 원과 9억 원 등 총 23억 원 상당의 이익을 얻은 것으로 보고 있다.● 尹 ‘도이치 허위 공표’ 혐의 수사 착수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검사 조민우)는 “윤 전 대통령이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관련 허위사실을 공표했다”는 고발 사건에 대해서도 수사에 착수했다. 검찰은 다음 달 1일 고발인인 시민단체 대표를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이 사건은 2022년 9월, 한 시민단체가 “김 여사가 주가조작 선수가 사놓은 주식을 본인이 순차 매도했을 뿐, 누구에게도 계좌를 맡긴 적이 없다”는 윤 전 대통령의 발언이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며 고발하면서 시작됐다. 검찰은 당시 현직 대통령 불소추 특권 등을 고려해 수사를 진행하지 않았지만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김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과 관련된 수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김태우 전 서울 강서구청장, 구상찬 전 국회의원 등 관련 정치인들을 연이어 조사했다. 김 여사에게도 출석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구민기 기자 ko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