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 지역 놀러온다고 민폐라고 생각 안 했으면 좋겠는데….”
15일 경북 안동시 하회마을에서 만난 권영길 이장은 깊은 한숨을 내쉬며 이렇게 말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봄이면 국내외 관광객들로 붐비던 하회마을은 지난달 대형 산불이 발생한 뒤 방문객이 급감했다. 권 이장은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해 관광객이 60%는 줄어든 것 같다”고 했다. 하회마을뿐 아니라 도산서원 등 다른 관광지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영남권을 덮친 역대 최악의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지역들이 관광객 감소로 이중고를 겪고 있다. 각 지자체는 모금과 연계한 관광 행사를 열고 지자체장이 직접 ‘방문해달라’ 문자까지 돌리는 등 피해 지역을 돕는 ‘착한 관광’을 독려하고자 안간힘을 쓰고 있다.
●각종 할인 이벤트에 ‘방문해달라’ 문자까지사단법인 안동시관광협의회에 따르면 3~4월 안동관광택시 예약(73건), 3~5월 안동시티투어 예약(280건)이 모두 취소됐다. 지역 내 한옥스테이와 게스트하우스 등 숙박업소 예약도 90% 이상 취소됐다. 안동찜닭과 간고등어 등 지역 대표 음식점의 매출도 산불 이전 대비 최대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송, 영덕 등 다른 산불 피해 지역도 관광객 감소 현상이 뚜렷하다. 산불 피해 지역을 방문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고 여긴 관광객들이 여행을 취소했기 때문이다.
각 지역엔 비상이 걸렸다. 안동시는 ‘착한 관광, 안동으로 여행 기부’ 캠페인을 시작했다. 지역 식당을 이용하고 관광지를 방문하는 것 자체가 산불 피해 복구를 돕는 ‘여행 기부’라는 취지다. 안동시는 이와 함께 시티투어·관광택시 할인, 코레일관광개발과 협업한 유네스코 세계유산 탐방 프로그램, 전통주 체험, 수도권 홍보 행사, SNS 인플루언서 초청 마케팅 등을 추진 중이다. 단체 관광객을 유치한 여행사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10일에는 관광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포럼도 열었다.
청송군은 윤경희 군수가 직접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청송 출신 2만 5000여 명에게 “고향을 찾아달라”고 읍소하는 문자 메시지를 발송했다. 윤 군수는 “소상공인을 돕고자 하는 절박한 마음”이라며 “많은 분들이 청송을 방문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화재 피해를 입었던 주왕산국립공원도 이날부터 등산객을 다시 맞이했다.영양군은 다음 달 9일부터 3일간 산나물 먹거리 행사를 열고, 동시에 성금 모금도 병행할 예정이다. 산불로 폐쇄됐던 자작나무 숲도 다음 달 중 개방을 앞당기기로 했다. 영덕군은 외지 관광객 환영 현수막을 내걸고 이재민 임시 거주가 마무리되는 7월부터 지역 축제를 재개할 계획이다.●“피해 지역 관광 오는 게 도와주는 일”
경남 산청군은 지리산국립공원 인근이 산불 피해를 입자 예산이 소진돼 중단했던 ‘산청에서 1박해’ 프로그램을 재개했다. 산청에 1박 이상 머무는 관광객에게 여행 경비 절반을 지역 화폐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하동군은 신혼부부에게 최대 15만 원의 숙박·식비를 지원하는 여행 인센티브 사업을 운영 중이다.
지자체 관계자들은 산불 피해 지역을 찾아오는 것이 곧 지역을 돕는 ‘성금’과 같다고 강조했다. 김남일 경북문화관광공사 사장은 “피해 지역민들을 배려해 찾지 않는 마음은 감사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관광객들이 찾아와 줘야 요식업과 관광업에 종사하는 주민들이 살고 지역 경기도 살아난다”고 했다.
권기창 안동시장도 “하회마을 등 대한민국 대표 문화유산이 전혀 훼손되지 않았다”며 “기부도 너무 감사하지만 지역을 방문해 주는 것도 큰 기부다. 많은 관광객이 찾아주셔서 희망과 용기를 북돋아 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안동=명민준 기자 mmj86@donga.com
산청=도영진 기자 0jin2@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