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처음으로 교황대사 활동
2월 은퇴 장인남 바오로 대주교
방글라-네덜란드 등서 외교 업무
이젠 일반 신자들과 만나고 싶어… 전해들은 교황님도 ‘강복’ 해주셔
1일 인천 강화도 꽃동네에 있는 ‘교황 프란치스코 센터’에서 만난 장인남 바오로 대주교(76)는 “2018년 프란치스코 교황의 북한 방문이 성사됐다면 남북 관계가 크게 달라졌을 것”이라고 했다. 한국 출신 첫 교황대사였던 그는 방글라데시, 우간다, 태국 교황대사 등을 거쳐 네덜란드 교황대사를 마지막으로 올 2월 은퇴하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76년 사제품을 받은 장 대주교는 교황청 외교관학교를 마치고 1985년 주엘살바도르 서기관을 시작으로 교황청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서기관, 참사관을 거쳐 2002년 한국 가톨릭 사상 처음으로 교황대사(주방글라데시 교황청)에 임명됐다. 한국인 출신 교황청 외교관은 장 대주교 이후로도 2018년 정다운 신부와 2019년 황인제 신부까지 3명뿐이다. 우리보다 가톨릭 역사가 훨씬 긴 일본은 아직 교황청 외교관을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교황대사는 교황을 대신해 주재국 정부와 교황청의 가교 역할을 하는 고위급 외교 성직자다. 교황청과 주재국 간의 외교 활동과 함께 주재국의 인권, 평화, 민주주의 수호 등과 관련된 사안을 교황청에 보고하고 메시지를 내는 활동을 한다.장 대주교는 “올 1월 퇴임 인사차 바티칸에 들렀는데, 교황청 어른들이 한국 걱정을 많이 했다”고 전했다. 민주주의의 모범국이라고 여겼던 한국에서 갑자기 비상계엄이란 사태가 벌어지자 굉장히 놀랐다는 것. 그는 “국무원장인 피에트로 파롤린 추기경, 외교장관인 폴 갈라거 추기경 등이 ‘어떻게 한국에서 그런 일이 벌어질 수 있느냐’며 매우 안타까워했다”고 했다.
“교황청 외교관은 외교와 행정을 하는 자리라 사실 일반 신자들과 접촉하며 사목 활동을 할 기회가 별로 없어요. 그래서 엘살바도르에 있을 땐 자청해서 외교관 업무가 없는 주말에는 변두리에 있는 가난한 신자촌에서 사목 활동을 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지요.”
그는 “이제 은퇴도 했으니 그동안 제대로 못 했던 사목 활동을 진짜 열심히 하고 싶다”며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북한 교회와 북한 사람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기꺼이 동참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강화=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