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출 한도 늘리려면…주기형 주담대 유리"

3 weeks ago 3

“디딤돌대출 등 정책금융상품이 아니라 일반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을 일으켜 집을 살 때 주담대보다 신용대출을 먼저 받는다면 한도가 확 줄어들 수 있습니다.”

"부동산 대출 한도 늘리려면…주기형 주담대 유리"

부동산 대출 전문가인 강연옥 플팩 대표(사진)는 6일 “같은 연봉을 받는 직장인이라도 ‘대출력’(대출 활용 능력)에 따라 누구는 선호 지역에 집을 사고, 누구는 무주택자로 남는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강 대표는 은행원으로 재직하며 쌓은 금융 지식과 실전 투자 경험 등을 바탕으로 최근 <플팩의 상급지로 가는 대출력>이란 책을 냈다.

주택 수요자는 통상 주담대와 신용대출을 함께 받는 경향이 있다. 강 대표는 “신용대출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서 가장 불리한 상품”이라며 “주담대를 먼저 받고 남은 DSR로 신용대출을 일으키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주담대는 만기가 30~40년으로 길지만 신용대출은 5년으로 계산돼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높게 설정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담대 한도를 늘리기 위해 신용대출을 먼저 상환하라는 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강 대표는 “이럴 땐 신용대출 상환조건 주담대를 이용해 볼 수 있다”며 “다만 금융사, 지점 등에 따라 이 상품 취급 여부가 다른 만큼 발품을 팔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생아특례대출, 보금자리론 등 정책대출상품 이용자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이 상품은 DSR 규제를 적용받지 않아서다. 강 대표는 “신용대출이 있다고 해도 총부채상환비율(DTI)만 통과하면 대출이 나오는 상품인 만큼 정책금융상품 수요자라면 신용대출을 먼저 받아두는 게 좋다”고 했다.

하반기에는 ‘스트레스 DSR 3단계’라는 강력한 한도 규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대출금리에 가산금리(스트레스 금리)를 붙여 한도를 더욱 줄이는 정책이다. 강 대표는 “생활자금 용도로 주담대를 받으려고 하면 변동형 상품을 추천한다”며 “앞으로도 금리 인하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 한도를 최대로 받는 게 중요하다면 특정 주기로 금리가 갱신되는 주기형 주담대를 받는 게 유리하다. 강 대표는 “스트레스 DSR은 변동형 대출 차주의 한도를 더 깎는 게 핵심”이라며 “혼합형보다 주기형 주담대가 고정금리 비중이 더 높아 한도도 더 많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이인혁 기자 twopeopl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