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마다 깨서 먹는 습관, 식탐 아냐…‘이 병’ 의심해야”

1 day ago 2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밤마다 부엌으로 향하는 습관이 단순한 식탐이 아니라, ‘야간섭식증후군(Night Eating Syndrome, NES)’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에 따르면, NES는 밤에 여러 차례 깨어 음식을 먹는 습관성 행동으로, 수면뿐 아니라 낮 동안의 집중력과 기분에도 악영향을 준다.

NES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생체시계의 이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정상적인 생체 리듬이라면 낮에 각성과 식욕이 오르고, 밤에는 졸림과 포만감이 증가해야 한다. 그러나 NES 환자는 밤에 각성되고, 배고픔을 느끼는 패턴을 보인다.

이외에도 유전, 스트레스, 낮 동안 식사 부족, 비만, 우울·불안 장애, 섭식장애, 약물·알코올 사용 등이 영향을 줄 수 있다.

NES는 체중 증가와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 만성 질환의 위험도 높인다. 수치심, 불면, 무기력감, 낮 시간 집중력 저하, 우울증 악화 등 정신적 부작용도 동반할 수 있다.

일반적인 ‘야식’과는 다르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NES는 단순한 야식과 달리 반복적이고 습관적인 특징을 가진다.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밤에 주 4회 이상 깨어 음식을 찾는다

✔ 하루 섭취량의 25% 이상을 밤에 먹는다

✔ 단 음식, 탄수화물, 고칼로리 음식에 집착한다

✔ 야식 먹은 기억이 있다

✔ 배가 불러야 다시 잠들 수 있다고 믿는다

✔ 아침 식사는 거르고 오후에야 첫 끼를 먹는다

✔ 낮 동안 피로하고 우울하거나 예민해진다

진단과 치료, 예방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NES는 문진과 신체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필요에 따라 수면일지 작성, 수면다원검사, 정신건강 평가 등이 병행된다.

다행히도 NES는 치료 가능한 질환이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인지행동치료(CBT), 약물치료, 최면치료, 체중 관리 프로그램 등으로 치료한다.

이 질환은 완전히 예방하기 어렵지만,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위험을 낮출 수 있다.

- 가공식품과 단 음식은 집에 두지 않기

-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기

- 전자기기, 카페인 섭취 줄이기

- 명상, 운동 등 스트레스 관리 실천

- 낮 동안 충분히 먹고 활동량 유지하기

클리블랜드 클리닉은 “야식증후군은 치료 반응이 좋은 편이며, 꾸준한 실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강주 기자 gamja822@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