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석화 그렇게 팔았는데”…한국 무역 ‘속빈 강정’ 말 듣는 이유

8 hours ago 1

경제

“반도체·석화 그렇게 팔았는데”…한국 무역 ‘속빈 강정’ 말 듣는 이유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은 중간재 교역 비중이 67.6%로 G7 주요국보다 높아 글로벌 무역 분쟁에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간재는 제품 생산 과정에 필요한 물품으로, 한국은 소재와 부품을 수입해 이를 가공하는 산업 구조에 특화되어 있다.

경총은 무역 의존도가 높아 외부 요인에 따른 생산 차질 위험이 크다며, 수출 시장과 수입처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경총, 국가별 수출입 비교

韓 67.6%…美·日 53% 수준
글로벌 무역분쟁 발생땐 타격

평택항에 쌓여있는 컨테이너. [연합뉴스]

평택항에 쌓여있는 컨테이너. [연합뉴스]

한국이 미국, 일본 등 주요 7개국(G7)보다 중간재 교역 비중이 크게 높아, 글로벌 무역 분쟁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9일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수출액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67.6%로 집계됐다. 이는 영국(57.1%), 미국(53.6%), 일본(53.5%), 독일(48.5%) 등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크게 높은 수준이다. 한국의 수입액 중 중간재 비중도 50.5%로 41~48% 수준을 보인 다른 선진국에 비해 높았다.

중간재는 1차 철강제품이나 기초 화학물질 등 제품 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재화다. 한국의 중간재 비중이 유독 높은 것은 소재, 부품을 수입해 반도체, 이차전지, 석유제품과 같은 중간재로 가공해 수출하는 산업에 특화됐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의 수출 상위 3개 품목은 메모리(720억달러), 프로세서·컨트롤러(359억달러), 석유제품(347억달러)으로 모두 중간재라는 공통점이 있다.

사진설명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나라는 무역 의존도가 높고 특히 최종재보다 중간재 교역에 더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다른 국가에서 핵심 소재, 부품을 수출 통제하거나 제3국 간 무역 분쟁이 발생하면 주요 선진국에 비해 생산 차질을 겪을 위험이 더 높다”고 말했다.

특히 한국의 중간재 수출·수입 국가집중도는 G7 국가 중 캐나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아 중간재 교역이 편중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의 주요 중간재 수출국은 중국(23.7%), 미국(14.2%), 베트남(8.9%), 홍콩(6.8%)이고, 수입국은 중국(27.7%), 일본(10.1%), 미국(9.7%), 대만(8.6%) 순으로 조사됐다.

하 본부장은 “최근 미국 관세 정책, 보호무역 확산, 미중 갈등 같은 요인이 커졌다”며 “수출 시장과 수입처를 다변화하고 국내 생산 기반을 강화하는 대책이 적극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전했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삼성전자

    005930, KOSPI

    97,900 - 1.31%
  • SK하이닉스

    000660, KOSPI

    580,000 - 2.19%
  • LG화학

    051910, KOSPI

    382,000 - 0.91%
  • 롯데케미칼

    011170, KOSPI

    68,800 - 3.37%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