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가 지역 전체를 ‘경제자유특별자치도’로 만드는 새로운 지역 발전 청사진을 제시했다. 경남의 새로운 발전 전략이 대선 공약과 차기 정부 국정과제에 담길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경상남도는 이번 대선 관련 핵심 전략 과제의 목표를 ‘경제자유특별자치도 경남’으로 24일 제시했다. 이는 5대 분야 24개 핵심 과제, 총 100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된다. 현재 제주·강원·전북은 자치권을 강화한 특별자치도로 분류돼 특별법을 두고 있지만 경제자유특별자치도는 경남이 새롭게 제안하는 개념이다.
도의 구상은 경제자유구역 확대, 경남경제자유구역청 설립, 경제자유구역 특별법 제정 등이 핵심이다. 도는 대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도 경남이 30개월 연속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며 국가 경제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우선 경상남도는 경제자유구역 확대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동부권인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은 진해신항과 가덕도신공항 건설에 따른 물류·업무시설 용지 부족 문제와 정주 여건 개선, 외국인 투자 및 기업 유치를 위해 창원·거제·김해 지역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서부권 역시 우주항공복합도시, 해저터널 건설 등과 연계한 정주 여건 개선, 관광레저단지 조성을 위해 진주·사천·남해 일원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신규 지정할 필요가 충분하다는 논리다.
도 관계자는 “산업통상자원부는 전국 경제자유구역을 총 360㎢ 이내(현재 271㎢ 지정, 59㎢ 여유)로 운영하는 총량관리제를 제3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에 반영하고 있다”며 “이에 맞춰 경제자유구역 신규 지정과 일부 해제(용원레저, 문화지구)를 병행해 약 47.4㎢ 경제자유구역 확대 계획을 산업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는 서부권의 경남경제자유구역청 신설과 경제자유구역 확대를 위해 현재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에 속한 하동사무소의 분리를 추진한다. 광양항 중심의 글로벌 물류거점에서 벗어나 진주혁신도시, 우주항공국가산업단지 등 지역 거점과 핵심전략산업(우주항공·방위산업·원전·조선)을 연계한 경남 주력 산업 육성 및 복합도시 개발을 위해 단독 경자청 설립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경상남도는 하동사무소 분리 및 경남경자청 신설을 위해 행정안전부, 전라남도 등과 협의 중이며, 서부경남 경제자유구역 신규 지정을 위한 기본계획과 우주항공국가산단 경제자유구역 지정(확대)을 위한 개발계획 수립 등 절차를 밟을 방침이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경남은 공항과 항만, 철도 등 트라이포트 구축을 통해 태평양으로 나가는 관문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이라며 “투자와 기업 유치에 좋은 조건을 갖춰 경남 전체를 경제자유구역과 같이 경제활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특별자치도로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