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접경 태국·베트남·말레이
무역로 철도 인프라 정비나서
시진핑, 동남아국가 순방예정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미·중 갈등의 최전선인 아시아 지역의 ‘탈미국화’를 부추킨다는 우려가 나왔다. 전통적으로 미·중 양쪽에서 중립 입장을 취해온 다수의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중국에 보다 밀착하는 행보를 보이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중국과 국경을 맞댄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가 최근 철도 인프라스트럭처를 적극 정비하며 중국과의 무역 확대를 서두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상호관세가 공개된 지난 3일 조지 바르셀론 필리핀 상공회의소 회장은 필리핀의 관세율이 경쟁국인 베트남·태국보다 낮아 외국 투자를 끌어들이기 좋은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필리핀 당국은 중국 선전, 샤먼 등 4개 도시에 대표단을 파견해 필리핀이 투자처로서 장점을 갖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중국의 투자 확대를 호소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전모가 드러나기 전에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동남아 국가들 상당수는 그동안 자유무역을 통해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여왔다.
닛케이에 따르면 이번 미국의 상호관세 대상에서 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에 달한다. 중국으로 무역 거래가 확대되는 현상은 지난 트럼프 1기 때도 나타난 바 있다.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출범 직후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탈퇴하며 자유무역에 등을 돌렸다.
국제무역센터(ITC)에 따르면 한국, 일본, 동남아 등 13개국·지역의 대중국 수출은 2020년까지 4년간 33%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해당 지역의 대미국 수출 증가율인 25%를 압도하는 수치다.
이 같은 흐름은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출범 이후 다시 미국의 수출 증가율이 중국을 압도하면서 역전됐다. 닛케이는 “트럼프 2기 출범 후 다시 보호주의 노선 회귀와 함께 아시아 무역이 다시 중국 중심으로 회귀하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역시 미국을 대체할 수출 시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달 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를 연달아 방문할 예정이다. 세 나라는 미국으로부터 24~49%에 달하는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은 상태다. 이번 순방을 통해 시 주석은 이들 국가에서 무역·투자 확대 의지를 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구애 대상은 동남아에 그치지 않는다. 지난 1일 쉬페이훙 주인도 중국대사는 현지 매체에 “인도와의 무역 협력을 강화하고 더 많은 인도 제품을 수입하고자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