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2026년 문체부 연구개발(R&D) 예산 정부안을 1515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2025년 대비 454억 원(42.7%) 증가한 규모이자, 지난 정부에서 감액된 수준(2023년 1336억 원→2024년 1001억 원→2025년 1062억 원/ 총 274억 원 감액)을 넘어서는 역대 최대 규모 투자다.
![]() |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사진=연합뉴스). |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8월 말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매기 강 감독을 만난 자리에서 “정부가 문화산업의 튼튼한 뿌리를 만들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번 문체부 연구개발(R&D) 투자 확대는 그 ‘튼튼한 뿌리’를 만들기 위한 정책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은 쏟아지고 있는 인공지능 영상과 이미지에서 체감할 수 있듯이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게 문체부의 판단이다. 그만큼 문화·체육·관광 등 문화기술 분야 연구개발(R&D) 투자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었지만, 그동안 문화기술 기업의 만성적인 자금 부족,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삭감 등으로 문화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가 정체되어 있었다.
이에 2026년 문체부 연구개발(R&D) 예산은 ‘K-컬처 에이아이(AI) 산소공급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구성해 K컬처의 전후방 산업 파급력을 증대시키고 ‘인공지능 3강 도약’을 위한 AI 활용을 극대화한다.
![]() |
이를 통해 콘텐츠산업의 기획부터 제작, 수출 전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해 ①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 도모에 나선다. 공연·영상·게임 분야 전략 기술개발과 스타트업 성장 지원이 핵심이며 2026년 배정액은 1026억 원이다.
문화기술연구개발에 2026년 832억원, 지속가능한 K-컬처 공동도약 기술개발에 64억 원을 신규 투입한다. 글로벌 K-컬처 스타트업 혁신성장 기술개발에 29억원, 저작권 보호 및 이용활성화, 글로벌 문제해결 등 기술개발에 101.2억원 지원에 나선다.
②자국 인공지능(소버린 AI) 강화에는 112억 원을 투자한다. 한국 문화예술 자료(고문헌·현대문학·공연예술 등)를 시대별·장르별·정서·문맥별로 체계적으로 수집 및 디지털화해 민간 서비스 개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문화예술 온톨로지 기반 LLM(대규모 언어모델) 연계 기술개발에 17.5억원을 신규 투자한다. 또 AI기반 관광혁신 기술개발에 37.5억원, 개인 운동기록 활용 기술개발에 57.3억 원을 신규 지원한다.
③공공 문화시설 AX 분야에는 116억 원 지원에 나선다. AI기술을 적용해 국민의 인공지능 접근성과 체감도를 높이고, 국립중앙도서관 등 문화시설에서 지식 소통과 창의적 독서·토론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독서토론 AI 에이전트’ 기술을 개발한다. 또한 국립한글박물관과 협업, 이동설치가 가능한 몰입형 복합 디스플레이 기술 및 훈민정음 관련 반응형 콘텐츠를 개발해 해외전시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문화공간 AX전환을 위한 차세대 컬처기술개발에 52억 원(신설), 케이팝 등 한류 콘텐츠에 대한 안전한 공연관람 환경 구축을 위해 사전 안전사고 예측 및 방지 등의 기술개발에 64억원 지속 지원한다.
④고급 인재양성에는 171억 원을 투입한다. 융합형 인공지능 인재를 양성하는 사업도 추진해 ‘세계 소프트파워 5대 문화강국’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기술 전문인력양성에 69억 원(계속), 저작권기술 글로벌 인재 양성에 올해 대비 25억원 늘어난 102억 원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문화산업은 아이디어에 기반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우리나라의 신성장동력인 만큼, 그 문화산업의 튼튼한 뿌리를 이루는 문화기술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