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빈도 높아 소비심리 직결
유가공품·빵·간편식 뒤이어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품목 1위는 면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상승폭이 크지 않아도 구매 빈도가 높아 체감 물가를 높인다는 분석이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의 ‘가공식품 소비자태도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가 장바구니 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한 품목은 면류(18%)였다. 이어 유가공품(12.4%), 빵 및 떡류(8.4%), 간편식(8.1%)이 뒤를 이었다.
면류의 가격 상승률은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지난해 면류 중 국수는 소비자물가지수 153.60으로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라면(117.84)과 파스타면(133.64)은 치즈(138.27), 빵(130.50), 초콜릿(133.59) 등 다른 가공식품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이다.
그럼에도 면류가 논란의 중심에 선 이유는 ‘소비 빈도’가 높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가공식품 지출액 중 면류가 차지한 비중은 15.3%로 가장 컸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일수록 가격 변동에 대한 소비자 체감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재명 대통령이 “라면 2000원”을 언급한 이후 당정은 가공식품 가격 안정 방안을 모색 중이다. 정부가 식품 물가 안정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수단은 할당관세다. 실제로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밀가루 가격이 급등했을 때도 밀을 할당관세 품목에 포함시킨 바 있다.
하지만 할당관세는 간접적인 방식이라 소비자가 체감할 만큼의 가격 안정으로는 이어지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국회예산정책처도 최근 발간한 ‘할당관세 운용 현황과 개선과제’ 보고서는 “할당관세 품목 중 농축산물은 그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라면이 물가 통제의 상징처럼 부각되는 데 대해 형평성 논란도 있다. 실제로 상승률은 크지 않지만 정책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어 과도한 정치적 상징화라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