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테랑 농부의 손기술을 익힌 인공지능(AI) 로봇팔이 1헥타르(1㏊=1만㎡) 규모 딸기밭 사이를 가로지르며 사진을 찍는다. 사람이 “작황 상태를 분석해 줘”라고 말하자 AI가 딸기 숙성도, 꽃의 수정 등 밭 상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자체 계산한 81점이라는 결과값을 개선하는 것도 AI다. 러너(불필요한 가지) 제거, 적화(열매 솎기), 운반 등 필요한 작업을 스스로 판단해 작업을 끝마치면 점수가 93점으로 오른다.
국내 농기계 전문업체 대동이 지난 10일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가 열린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현장 부스에서 공개한 다기능 농업로봇 ‘AI 어그리 로봇’의 청사진이다. 코스닥시장 상장사 대동은 5년 전 “농기계 기업을 넘어 농업 솔루션 기업으로 탈바꿈하겠다”고 선언한 뒤 로봇과 정밀농업(최적 생육 및 환경 관리), 스마트팜 등 AI 농업 기술을 개발하는 데 매진했다. 올해는 다년간 닦은 AI 농업 기술을 글로벌 무대에 선보이기 위해 국내 업계 최초로 CES에 참가했다.
이날 대동이 선보인 AI 어그리 로봇은 반년간 농부들이 딸기를 채집하는 손 모양을 딥러닝했다. 별도의 코딩 없이 작물 파종과 수확, 선별 전반을 아우르는 작업을 해낸다. 초보 농부도 간단한 말 몇 마디면 최적의 생육 상태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는 의미다. 대동 관계자는 “올 하반기부터 자체 자율운반로봇 상단에 이 로봇을 장착해 현장 검증을 할 예정”이라며 “특정 작물에 국한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하도록 기술 역량을 확장해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로봇 옆에는 올해 CES에서 혁신상을 받은 AI 가정용 식물 재배기를 유심히 바라보는 관람객들이 눈에 띄었다. 세 칸으로 나뉜 이 재배기는 층마다 AI 카메라가 달려 있다. 씨앗 캡슐을 재배기에 넣으면 이 카메라가 스스로 품종을 인식한다. 이를 통해 온도와 습도, 조도, 배양액 등 각 품종에 맞는 환경 요소를 실시간으로 조절한다. 성장 상태를 토대로 수확 시기와 양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같은 기술력을 인정받아 CES 삼성전자 부스에 스마트홈 기기 중 하나로 전시됐다.
대동은 AI 재배기로 키운 식물의 영양 성분을 분석해 알려주는 기능을 서울대와 공동 개발 중이다. 특정 영양분을 늘린 기능성 식물을 재배하는 기술도 함께 선보여 농기계 위주의 기존 고객층을 일반 소비자로 확장한다는 구상이다. 대동 관계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함께 간 기능, 항비만, 항노화 분야에 탁월한 기능성 식물 7종을 개발하는 성과도 거뒀다”며 “간 건강 개선에 탁월한 자체 지식재산권(IP) 품종 이고들빼기는 자사 카페 메뉴의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밀농업 서비스를 본격 확대하겠다는 포부도 내놨다. 대동은 지난해 1월 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쌀·콩 재배 농가 12곳을 대상으로 60㏊에 달하는 정밀농업 솔루션을 제공했다. 인근 지역 농가보다 비료량을 7% 줄이면서 쌀 수확량은 약 6.9% 늘리는 성과를 냈다. 2029년까지 농가 3만6500곳에 정밀농업 서비스를 공급할 방침이다.
대동은 또 대규모언어모델(LLM) 기술을 적용한 무선통신(텔레매틱스) 서비스 ‘커넥티드’를 미국에 수출되는 중·대형 트랙터에 장착해 제품 차별화를 꾀한다. 커넥티드를 통해 미국의 농기계·농작업 데이터를 수집해 챗GPT에 기반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모든 트랙터에 레벨4 자율 작업 기술도 적용한다. 특정 환경에서 사람의 개입이 필요한 기존 3단계 기술과 달리 스스로 돌발 상황에 대처해 작동할 수 있다는 의미다.
라스베이거스=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