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은 한 명이지만 대통령을 만드는 사람은 수백, 수천명입니다. 대통령 후보 곁을 밀착 보좌하고 유권자 표심 공략 전략을 짜는 참모부터 각 분야 정책을 발굴해 공약으로 가다듬는 전문가까지, 대통령을 만드는 사람은 굉장히 다양합니다. 한국경제신문은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주요 대선 후보를 돕는 인사들을 소개하는 온라인 시리즈 기사를 연재합니다.
“(박수영 의원은) 경기도 부지사로 있으면서 사실상의 지사 역할을 다 했습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지난 16일 박수영 의원(부산 남구·사진)을 자신의 대선 캠프 정책총괄본부장으로 영입하며 이렇게 소개했다. 단순한 ‘정책 담당자’가 아니라 모든 행정과 정책을 믿고 맡길 수 있는 오른팔임을 강조한 것이다.
두 사람의 인연은 김 후보가 경기도지사로 재직하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경기도 행정1부지사였던 박 의원은 경기도의 굵직한 정책을 챙기고 예산 조정과 행정 시스템 정비를 도맡았다. 김문수 캠프 관계자는 “당시부터 김 후보의 큰 그림과 박 의원의 디테일이 맞물려 돌아갔다”고 기억했다.
이번 대선에서도 마찬가지다. 김 후보가 매일 오전 9시 ‘꼿꼿문수’ 시리즈로 발표하는 공약들은 모두 박 의원의 손을 거쳐 탄생한다. △수도권·부울경·대전세종충청·대구경북·광주전남 등 전국 5대 광역권으로 GTX 확장 △대학가 반값 월세 공급 △군가산점제 부활 및 여군 비율 30%까지 향상 △층간소음 방지 의무화 △당선 즉시 한미정상회담 추진 등의 공약이 대표적이다.
박 의원은 총무처, 청와대, 행정안전부, 기획예산처 등 핵심 부처를 두루 거친 정통 엘리트 관료 출신이다. 뱃지를 단 건 2020년 부산 남구갑 국회의원 선거였다. 이후 지난해 재선에 성공하며 여의도연구원장, 기획재정위원회 간사 등을 맡아 세제·정치개혁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냈다.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상속세 및 증여세 완화, 국유재산법 개편 같은 굵직한 경제 입법이 그의 주도 아래 이뤄졌다. 부산 남구 지역 발전을 위한 산업은행 이전, 종합병원 유치, 국제학교 설립 등 지역 밀착형 인프라 정책도 적극 추진했다.
그는 “관료 시절부터 기본은 실용주의였다”며 이를 ‘국민 주름살을 펴자’는 정치 철학으로 확장했다. 지역구 주민과의 소통 창구로 ‘국회의원 쫌! 만납시다(국쫌만)’를 매주 열어 주민들을 만났다. 민원답변률만 91%를 넘는다.
과거 경기도 행정부지사 시절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겨냥한 의혹 제기에 적극 나서며 ‘이재명 저격수’로 불리기도 했다. 대장동 50억 클럽 의혹을 처음 수면 위로 끌어올렸고, 이후 백현동, 위례, 성남FC, 김혜경 법인카드 사건 등 이 후보 관련 각종 의혹 제기에도 선봉에 섰다.
이 후보의 취약 지점을 누구보다도 잘 파악하고 있는 만큼 이번 대선 과정에서 김문수 후보의 대이재명 전략을 주도할 것으로 관측된다. 대선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향후 단일화를 주도할 가능성도 크다. 박 의원은 앞서 “우선 김문수 후보를 1위로 만들고 추후 빅텐트를 칠 때 다른 인물들을 포함하겠다”고 발언한 바 있다. 앞서 당내에서 한 대행의 대선 출마 촉구에 앞장서며 지지세 규합에 나서기도 했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
△1964년 부산 △서울대 법학·행정대학원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공공정책 석사 △버지니아주립공대 행정학 박사 △행정고시 29회 △행정안전부 인사기획관 △경기도 기획조정실장 △경기도 행정1부지사 △한반도선진화재단 대표 △여의도연구원장 △제21·22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캠프 정책총괄본부장
하지은 기자 hazz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