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티움-저장대학교, 차세대 SOFC 기술 공동연구 본격화

6 hours ago 2

바이 하오 교수 연구팀 주도…에너지 고효율화 위한 한중 기술협력 강화

저장대학교 바이 하오 교수 연구팀과의 협력 방문 기념촬영

저장대학교 바이 하오 교수 연구팀과의 협력 방문 기념촬영
덴티움이 중국 저장대학교(Zhejiang University)와 추진 중인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이하 SOFC) 공동 연구가 본격적인 개발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단일 셀 기반의 초기 연구 단계를 순조롭게 마무리하면서, 향후 다층 셀 스택 개발을 중심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효율성과 환경 친화적인 차세대 전력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하며, 2024년 9월부터 2027년 8월까지 총 3년간 수행된다. 해당 과제는 SOFC를 구성하는 재료 조성, 전극·전해질 제조 공정, 셀 스택 구조 설계 등 핵심 기술 전반의 고도화를 주요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덴티움은 덴마크공대 및 프라운호퍼연구소와의 국제공동연구 총괄 책임을 맡으며 SOFC 관련 연구 기반을 다져온 바 있으며, 저장대학교와의 협력에서는 자체 지르코니아 분말을 활용하여 고온 환경에서의 안정성과 셀 스택 구조 최적화를 중심으로 심층적인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저장대학교는 중국 저장성 항저우시에 위치한 국가 중점대학이자, 공학·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경쟁력을 갖춘 명문 연구중심 대학이다. 실질적 연구성과의 기술화 및 산업화를 위한 산학협력 시스템을 활발히 운영 중이며, 그 중심에는 ‘항저우국제과학기술혁신센터’가 있다.

항저우국제과학기술센터

항저우국제과학기술센터
항저우국제과학기술혁신센터(Hangzhou Glob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Center)는 저장대학교가 주도하는 전략 기술과 연구 인재가 집결하는 플랫폼으로, 첨단 기술의 산업화 가능성과 응용 확장성을 함께 모색하는 전초기지 역할을 한다. 이 곳은 연구 중심 대학의 고급 기술과 인적 자원을 산업 현장과 연결하는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며, 국내외 유수 연구기관 및 기업들과의 긴밀한 협력 기반도 갖추고 있다.

바이 하오 교수는 저장대학교 에너지공정학원 소속으로서, 올해 6월부터 항저우혁신센터장을 담당하게 되어 연구개발이 산업화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되었다. 이번 공동연구에서는 단일 셀 기반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셀 스택 구조의 성능 향상을 위한 후속 연구를 이끌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크게 두 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에서는 단일 셀 프로토타입 개발과 함께 전해질·전극의 재료 설계, 고온 환경에서의 열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기초 연구가 중심이 된다. 현재 이 단계는 주요 기술 검토와 셀 단위 전기화학적 성능 평가를 마친 상태다. 2단계에서는 셀을 적층한 스택 구조로 확장하여, 구조 설계의 정밀도와 안정성 확보를 위한 성능 검토가 진행될 예정이다. 덴티움 관계자는 “저장대학교와의 협력은 단순한 기술 교류를 넘어, 학문적 연구와 실용기술을 함께 모색하는 전략적 파트너십” 이라며 “바이 하오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국제적으로도 높은 신뢰를 받고 있으며, 초기 셀 개발도 매우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덴티움의 소재개발 및 정밀제조 기술이 SOFC 분야에서도 실제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최용석 기자 duck8@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