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실장 “심야 돌봄 시간 연장
실시 기관도 확대 방안 모색“
노후 아파트 화재 대책도 점검
최근 부산에서 부모가 자리를 비운 심야에 발생한 화재로 잇따라 어린이들이 참변을 당하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돌봄 공백이 없도록 24시간 돌봄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겠다는 내용이 주요 골자다. 아울러 초기 화재 진화 시설이 미비한 노후 아파트에 스프링클러 등을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4일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부산 아파트 화재 아동 사망 관련 긴급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어린 생명들을 지켜주지 못한 데 대해 정부는 매우 엄중하게 책임을 통감한다”며 “수요가 많은 지역과 저소득 가구 등을 우선 대상으로 돌봄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윤 실장은 “심야 시간대나 긴급한 돌봄 공백 상황에 대비해 아이 돌봄 서비스를 지원하겠다”며 “심야 돌봄에 대한 수요 조사를 거쳐 시간을 연장하고, 실시 기관도 이른 시일 안에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학교 방과 후 돌봄을 제공하는 지역아동센터 4000여 곳 가운데 344곳이 오후 8시 이후까지 연장 돌봄을 제공하는 시범사업을 운영 중이다. 돌봄사업 운영 시간을 연장하고 규모도 확대한다는 것이다.
노후 아파트의 초기 화재 진화시설에 대한 점검도 이뤄진다. 지난달 24일 그리고 불과 9일 만인 지난 2일 부산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는 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되기 전인 2005년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에서 발생했다. 윤 실장은 “스프링클러가 없는 아파트의 화재 초기 유효한 진화 방안을 마련하고, 어린이 등 노약자 대피가 효과적으로 이뤄지는 데 대책의 중점을 두겠다”며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전국 약 2만4000여 단지의 화재 취약점을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또 “스프링클러를 사후에 설치할 수 있는지 기술적·재정적 측면에서 전문가와 함께 검토해 국민께 소상히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긴급 대책회의는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화재 참변에 대한 진정성 있는 후속 조치를 하고, 종합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하면서 열렸다. 강 비서실장은 전날 윤 실장에게 “관계부처 고위 관계자와 실무진을 부산으로 급파해 유가족을 위로하고 현장 상황을 점검하라”고 주문했다.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부산 소재 아파트 사고 현장을 방문해 현장 상황을 점검했다. 김 본부장은 “유가족께 진심 어린 위로를 드린다”며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분석해 범정부 차원의 종합 개선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소방청은 이날 오전 10시를 기해 전국에 화재위험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했다. 소방청은 “최근 폭염특보 발효 지역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화재 발생 건수가 급증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계 단계가 발령되면 각 소방본부는 화재 예방 대응 방안이 담긴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한다. 다중이용업소 등 중점 관리 대상과 노후 공동주택에 대한 안전 관리 강화도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