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가 한국전력과의 실무협의회에서 산업용 전기요금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전력 소비량이 많지 않은 6월이나 11월, 토요일 시간대별 요금을 조정해달라는 것이다. 기본요금을 결정하는 최대수요전력 기준도 연간 단위가 아니라 분기별·월별 단위로 바꿔달라고 요청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4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한국전력공사와 중소기업 상생협력 실무협의회를 공동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협의회는 한국전력과 중소기업중앙회가 2019년 협력방안 논의를 위해 처음 구성한 협의체다. 이번 회의엔 전력 기자재와 뿌리 제조업계 관계자, 한국전력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논의된 현안 중에선 산업용 전기요금제도가 핵심 화두였다. 제조원가에서 전력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납품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워 전기료 인상에 따른 부담이 크다는 게 기업계 입장이다. 중소기업중앙회에선 산업용 전기요금의 원가회수율이 2021년 92%, 주택용 전기요금은 68%에 그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산업용 전기요금의 인상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전에 계산된 것인 만큼 이 격차는 더 벌어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인 개선 요청사항으로는 △기본요금 최대수요전력 기준 연간 → 분기별·월별 산정 △실제 전력수요에 맞춰 계절별(6월·11월) 및 시간대별 요금(토요일 중부하 시간대) 조정 등이 있었다. 한국전력 요금전략처는 요청사항이 전체 요금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중장기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답변했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한국전력과 중소기업계는 산업경쟁력 강화와 에너지효율 개선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할 운명 공동체로서, 전기요금 체계 합리화 및 효율 중심의 에너지 체계 전환 등의 이슈에 대해 합리적 대안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동희 한국전력공사 에너지생태계조성처장은 “오늘 제안된 과제 중 즉시 이행가능한 부분은 올해 계획에 반영하고, 보다 깊은 논의가 필요한 과제는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입장 차이를 좁혀나가겠다”고 답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